<p></p><br /><br />분노하고 있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마음을 잡기 위한 여야 대선후보들의 지원책 경쟁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재명 민주당 후보와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소상공인 지원책을 정하니 기자가 비교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] <br>"정부에서도 가급적 여야의 입장을 존중해서 선제적인 선보상, 선지원 조치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." <br> <br>[윤석열 / 국민의힘 대선 후보] <br>"일일 확진자가 1만 명이 나온다는 것이 어처구니가 없고, 정부 방역 치료 체계가 완전히 무너져서…" <br> <br>코로나가 재확산되면서 여야 대선 후보가 방역과 지원책 경쟁에 사활을 거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특히 단계적 일상회복 중단으로 타격을 입게 될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위해 적극적인 재정 지원을 경쟁적으로 약속하고 있습니다. <br><br>먼저 이재명 후보는 내년도 소상공인 기금 8조 원을 활용해 손실보상 선지원 후정산 방식을 제안했습니다. <br> <br>소비쿠폰을 통해 매출을 지원해주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윤석열 후보는 취임 후 100일 안에 50조 원을 투입해 긴급 피해보상에 나서겠다고 약속했습니다. <br> <br>정부가 피해 규모를 분류해 차등 보상하는 방식입니다.<br> <br>전문가들은 두 후보의 지원책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[성태윤 /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(소비쿠폰 형태의 지원은) 대면 소비 활성화와 연결될 수 있는 이러한 부분들은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련해서 실질적인 문제를 <br> <br>추가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기 때문에 현재상황에서 진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[우석진 /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] <br>"규모 면에서 50조 원을 지출 구조조정을 통해서 마련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도전한다는 그런 얘기기 때문에 신뢰감 있는 약속이라 보기는 조금 어려울 것 같습니다." <br><br>두 후보는 똑같이 추경 필요성도 강조하고 있는데, 표를 겨냥한 '돈풀기 경쟁'이라는 비판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하니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김기태 <br>영상편집: 김지균<br /><br /><br />정하니 기자 honeyjung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