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부턴 아무리 상태가 안 좋은 코로나 환자라도 증상이 발현한 지 20일이 지났다면 중환자 병상을 무조건 비워줘야 합니다. <br> <br>중환자실이 부족하다보니 방역당국이 생각해 낸 고육지책인데요. <br> <br>현장에선 황당하다는 반응입니다. <br> <br>환자마다 사정이 다른데, 무 자르듯이 20일로 자를 수 있냐는 겁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전국의 중환자 병상 가동률은 81.9%. <br> <br>의료 대응 마비 직전인데다 대기 중 숨지는 환자도 급증하자 정부가 병상 회전율을 높이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내놨습니다. <br><br>오늘부터 코로나19 중환자실 환자 가운데 증상 발현 20일이 지난 환자는 병상을 비워줘야 합니다. <br> <br>계속 코로나 중환자실에 머물면 국가가 전액 부담하던 치료비도 환자가 내야 합니다.<br> <br>[권덕철 / 보건복지부 장관 (어제)] <br>"이행력을 높이기 위해 격리해제 이후에도 입원을 원하는 경우 입원비는 환자 본인 부담으로 전환하겠습니다." <br><br>병원 보상도 달라집니다. 예전엔 입원 기간에 상관없이 무조건 10배 보상해줬지만 앞으론 5일 이내 짧게 병상을 쓰면 14배 보상하고, 중환자 입원이 20일 넘게 길어지면 아예 보상을 안 해줍니다.<br> <br>등 떠밀듯 빨리빨리 중환자 병상을 돌리겠단 것인데 의료 현장에선 현실을 무시한 탁상공론이라며 반발합니다. <br> <br>[엄중식 /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격리 해제 가능한 상황이 되더라도 인공호흡기나 에크모를 장착한 상태에서 격리병동을 떠나기 어려운 상황이 있을 수 있거든요. 중단하고 옮기려고 하면 환자가 사망할 수 있습니다." <br><br>대한의사협회는 아예 재검토를 촉구했습니다. <br> <br>20일 지나도 전염력이 있을 수 있는데다 다인실 위주인 국내 병상을 고려했을 때 일반 병상 집단 감염 우려도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[염호기 /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 대책전문위원회 위원장] <br>"일반 중환자실에서도 굉장히 면역적으로 취약한 사람들이 많은데…그 사람들에게 감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무 자르듯이 20일로 규정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생각지 못한 거센 반발에 방역 당국은 현장 목소리를 들으며 운영 방침을 조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상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호영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br /><br /><br />서상희 기자 with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