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여야가 <공격을 위한 공격>에 몰두하다가 우리쪽이 했던 말, 내놨던 정책까지 문제 삼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.<br> <br>대통령을 뽑는 선거조차 국정 철학보다는 정치공학적 계산만하다보니 국민들만 일관성 없는 정책에 노출되는 셈입니다.<br> <br>어떤 얘긴지 김성규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더불어민주당은 최근 60억원대 자산가인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의 부인 김건희씨가 한달에 7만원의 건강보험료만 냈다는 것을 <br>문제삼았습니다. <br> <br>[서영석 / 더불어민주당 보건복지위 의원(어제)] <br>"윤 후보가 지난 11월 건보료 부과 체계를 소득 중심으로 전환하여 가입자 간 형평성을 도모하겠다고 한 발언의 의도가 과연 공정하고 합리적인 제도개선을 이야기한 것인지."<br> <br>하지만 재산이 아닌 소득 중심으로 건강보험료를 개편하자고 주장해 온 것은 오히려 민주당입니다. <br> <br>[남인순 / 더불어민주당 의원(지난 10월)] <br>"소득중심 체계로 완전히 개편을, 갈 수 있는 인프라가 됐기 때문에 갈 수 있다라고 하는 부분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리는 것입니다.” <br> <br>국민의힘도 비판에서 자유롭지는 못합니다. <br><br>성범죄물 유통을 막기 위한 ‘N번방 방지법’은 20대 국회 당시 국민의힘도 찬성해 가결시켜놓고 2030 남성 표심을 위해 최근 재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나섰습니다. <br> <br>중도와 2030을 동시에 공략하는 여야 대선 후보들의 공약은 여야 구분이 쉽지 않습니다. <br>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(지난달 11일)] <br>"가상자산에 대한 과세는 지금 주식양도소득세 부과하는 시점과 맞춰서1년 쯤 연기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하고.” <br> <br>[윤석열 / 국민의힘 대선 후보(지난달 15일)] <br>“가산자산 소득에 대한 과세 역시 가산자산에 대한 제도적 뒷받침이 충분히 이뤄질 때까지 유예해야 할 것입니다.” <br> <br>정치권에서는 원칙 없이 공격과 득표만을 의식한 주장이 결국 부메랑으로 돌아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성규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태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 /><br /><br />김성규 기자 sunggyu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