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홍남기 /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] <br />코로나 이후에 아젠다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시기. 그리고 현 정부와 다음 정부에 걸쳐 경제계가 운영된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고 또 중요한 한 해라 할 것입니다. <br /> <br />이러한 맥락에서 내년 경제 정책의 목표를 위기를 넘어 완전한 경제의 정상화와 선도형 경제기반 공고화라는 두 가지로 설정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정부는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정상 궤도로의 복귀, 민생경제의 회복, 리스크 관리의 강화, 성장 동력의 보강 그리고 미래 과제 선제 대응이라고 하는 5가지 카테고리의 내년도 주요 정책 과제들을 배치하고자 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전반적으로 내년 우리 경제는 성장률은 3.1%, 수출은 금년 역대 최고치를 넘은 6600억 불 수준을 목표로 하였으며 고용 목표는 플러스 28만 명, 물가는 금년보다 다소 완화된 2.2%로 전망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제 내년 경제정책 방향과 그 주요 정책 과제들에 대하여 설명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물론 방역이 곧 경제 백신이라는 측면에서 철저한 방역 제어를 최우선순위에 두고 경제 정책을 펼쳐나가겠습니다. <br /> <br />첫째, 경제 정상 궤도로의 복귀 및 도약입니다. <br /> <br />이를 위하여 거시경제 정책 수단들을 조화롭게 운영하면서 동시에 소비, 투자, 수출 등 부문별 활용을 각별히 제고해 나가겠습니다. 먼저 내년 적극적인 재정 기조를 견지하고 코로나 위기 시 취했던 한시적 금융 조치는 질서 있게 정상화해 나가겠습니다. <br /> <br />또 내년 경제 정상화 과정에서 내수 진작이 매우 중요한 만큼 추가 소비 특별 공제제도의 연장 등 소위 상생소비 진작 3종세트를 통하여 내수 회복력을 최대한 끌어올리고 내국인 면세점 구매한도 5000불 제도도 폐지토록 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내년 정부, 공공, 민간의 대규모 투자 프로젝트 규모를 115조 원까지 확대하여 이를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고 아울러 국가 핵심 전략 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하여 반도체, 배터리 등 분야의 65개 국가전략 기술을 지정하여 세제금융지원을 대폭 강화해 나가겠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 수출과 관련해서도 금년 역대 최고치를 넘어 내년 무역 규모가 약 1조 3000억 불 달성되도록 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260조 원이 넘는 수출금융 지원과 함께 현장의 물류 애로 해소에도 정부는 총력을 기울여 나가겠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은 둘째, 민생 경제 회복 지원입니다. <br /> <br />이를 위하여 정부는 소상공인 집중 지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1&key=2021122016504932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