또 한 번의 '아빠 찬스' 논란으로 김진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사의를 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문재인 정부의 청와대 민정수석실, 유독 여러 차례 논란에 휩싸이고 있죠. <br /> <br />'민정수석 잔혹사'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잘 아시다시피 조국 전 법무부 장관입니다. <br /> <br />정권 초기 많은 국민들의 지지를 받았던 만큼 문재인 대통령뿐만 아니라 조국 민정수석 등 청와대 참모진들도 큰 인기를 끌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민정수석 재직 중에는 인사검증을 비롯해 특별감찰반 관련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당시엔 사퇴까진 이어지진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이후 법무부 장관에 내정 되자마자 불거졌죠. <br /> <br />자녀의 대학입시 특혜 의혹과 일가의 사모펀드 투자 의혹까지 겹치며 결국 장관 임명 35일 만에 자리에서 내려왔습니다. <br /> <br />2대 김조원 전 민정수석은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맞서다 사퇴했습니다. <br /> <br />참모들에게 1주택 보유 권고를 내렸지만 2주택을 유지하고 민정수석 자리를 포기한 겁니다. <br /> <br />3대 김종호 전 민정수석은 당시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검찰총장 사이의 갈등이 폭발하면서 조율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물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4대 신현수 전 민정수석도 역시 계속된 법무부와 검찰 갈등 이슈로 자리에서 물러났고요. <br /> <br />다음 타자인 김진국 수석마저 물러나면서 잔혹사를 이어가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김 수석은 지난 3월 민정수석으로 인선 돼 9개월 정도 직무를 수행했는데요. <br /> <br />민변 출신의 노동, 인권 전문 변호사인 김 수석은, 지난 2017년에는 차관급인 감사원 감사위원으로 임명돼 문재인 당시 민정수석과 함께 일했던 인연도 있었지만 끝내 아름다운 인연으로 마무리되진 못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1221134139340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