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확진자 임신부가 병상을 찾아 헤메다 구급차에서 출산하고, 아이를 직접 돌보고 있다는 안타까운 사연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출산을 앞둔 임신부들은 남의 일이 아니라며 불안해합니다. <br> <br>김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다음달 출산을 앞둔 임모 씨. <br> <br>최근 일절 외출하지 않고 집에서만 지냅니다. <br> <br>태아 걱정에 백신도 안 맞았는데 코로나19에 확진될까봐 겁이 난 겁니다. <br> <br>[임모 씨 / 임신 34주차] <br>"집에 한 2주 정도 가만히 있을 생각이에요, 무서워서. 걸리면 병상이 없고 제가 어디로 가야 할지 어떻게 될지를 모르니까." <br> <br>열흘 뒤 출산을 앞둔 김다정 씨도 평소 다니던 병원이 아닌 곳에서 출산할까봐 불안합니다. <br> <br>병상을 찾아 헤매다 구급차에서 아기를 낳았다는 보도에 걱정은 더 커졌습니다. <br> <br>[김다정 / 임신 39주차] <br>"신뢰하는 의료진이 없는, 뭔가 전혀 새로운 환경 그런 거점 병원에서만 (출산) 할 수 있다고 하니까. 두려움이 배가 되는 것 같긴 해요." <br> <br>인터넷 맘카페에는 불안을 호소하는 글들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> <br>출산 예약 병원에 격리병실이 없어 걱정이라는 하소연이나 확진됐을 때 출산 가능한 병원을 수소문하는 글도 올라옵니다. <br><br>어제는 확진 산모의 출산 대책을 마련하라는 국민청원도 올라왔습니다. <br> <br>방역당국은 병원들이 당번제로 출산용 병상을 비워 두거나 응급 분만이 가능한 병원을 전담 병상으로 지정하겠다는 대책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단기간에 전담 병상을 갖추기는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[박향 /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] <br>"산부인과 의사만이 필요한 게 아니라 신생아실, 그다음에 신생아실조차도 신생아 격리가 필요해야 되고요." <br> <br>코로나19에 확진된 임신부가 분만할 수 있는 의료시설을 갖춘 병원은 전국에 8곳뿐. <br> <br>신속한 병상 확보가 필요해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정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김명철 <br>영상편집: 이혜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