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처럼 여권 내에서 부동산 정책이 오락가락하자 시장도 혼란입니다. <br> <br>보유세 동결뿐 아니라 양도세 인하 가능성까지 나오자 일단 대선 때까지는 지켜보자, 거래에 나서질 않는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박정서 기자가 얼어붙은 거래 현장,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서울 송파구의 5,500세대가 넘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. <br> <br>지난달부터 이뤄진 매매 거래는 모두 6건에 불과합니다. <br> <br>[오문열/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송파구 대의원] <br>"잠실쪽도 거래가 지금 멈춰있습니다. 거래절벽이죠. 내년에 또 금리 인상을 한다고 예고했잖아요. 매수 심리가 약해졌고요. 양도하려고 해도 양도세 때문에…" <br> <br>올해 하반기 들어 거래절벽이 심화된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강화된 대출 규제 영향이 큽니다. <br> <br>팔려는 사람은 양도세 때문에 사려는 사람은 대출 때문에 망설이면서 거래가 얼어붙은 상황. <br> <br>올해 1월, 5796건에 이르던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건수는 9월 3천건 아래로 떨어진 뒤, 지난달엔 1200여 건에 머물러 있습니다. <br><br>여기다 내년 대선을 앞두고 오락가락하는 정책도 문제로 지적됩니다. <br> <br>양도소득세 중과 유예, 공시가격 현실화 속도 조절 등 기존 정책들을 뒤엎는 내용들이 나오면서 매수자나 매도자가 섣불리 결정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정부는 새로운 정책으로 매도를 유도하겠다지만 시장을 움직이기에 역부족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정부는 어제 임대료를 5%내에서 인상한 1주택자 임대인에게 양도세 면제를 위한 실거주 요건 2년 중 1년을 충족해주겠다고 발표했지만, 임대 물량의 상당수를 공급하는 다주택자가 제외돼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됩니다. <br><br>전문가들은 이같은 거래절벽이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. <br> <br>[권대중/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1,2월 이어서 3월까지도 (거래절벽이)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. 양 후보의 부동산 정책이 극명하게 다르기 때문에 대통령선거가 앞으로의 변곡점이 되지 않겠나…"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: 유하영<br /><br /><br />박정서 기자 emotion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