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올 겨울은 전 세계가 먹는 코로나 치료제 확보 전쟁을 치를 전망입니다. <br> <br>정부는 미국을 제외하고 세계에서 가장 많이 확보하는 것이 목표라고 했습니다만, 이미 확보한 물량부터 영국과 일본에 훨씬 뒤처졌습니다. <br> <br>백신 수급 초기 사태 같은 일이 반복되지는 않을까 우려됩니다. <br> <br>허욱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정부가 미국 제약사로부터 확보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는 54만 2천 명분입니다. <br> <br>이 중 초기 환자가 중증이 되는 걸 예방하는데 효과가 좋은 화이자의 '팍스로비드'는 30만 명분입니다. <br> <br>[김부겸 / 국무총리] <br>"정부는 이미 밝혀드린 7만 명분보다는 훨씬 많은 30만 명분 이상의 치료제 구매 협의를 화이자사와 진행해 왔습니다. 이제 그 계약이 곧 마무리 단계일 거고." <br> <br>머크사의 치료제 24만 2천 명분도 구매 확정됐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다음 주 긴급 사용 승인을 하고 다음 달 말 도입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는 만큼 재택치료자 위주로 사용됩니다. <br> <br>하지만 초기 생산 물량이 제한적이고 세계 각국이 구매 경쟁에 나서고 있어 신속한 물량 확보가 녹록지 않아 보입니다. <br> <br>[김우주 /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줄을 서 있는 상황이니까 그 순서도 중요할 것이고, (생산되는) 양이 일단 올해 내로는 미국도 충분치 않다는 거 아니에요." <br> <br>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비해 충분한 물량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[정기석 /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] <br>"오미크론 때문에 어떻게 될지 몰라요. 우리는 좀 더 준비해야 되겠다고 생각해요. (알약 치료제) 유효기간이 꽤 길거든요. 그렇기 문에 1년 내내 쓸 수 있을 정도로 준비를…" <br><br>실제 미국은 화이자 치료제 1000만 명분을, 영국과 일본은 200만 명분 이상 구매를 확정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허욱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이은원 <br>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