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떤 약을 더 많이 들여오냐도 문제입니다. <br> <br>국내에 들어올 두 약 중, 화이자가 만든 약이 머크사의 약보다 입원과 사망 위험을 낮출 가능성이 높다는 임상 시험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> <br>그래서 프랑스는 머크사 약의 구매를 취소하기도 했는데요. <br> <br>앞서 보신 것처럼 현재 우리는 효능이 떨어지는 머크사 약도 상당수 들여올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두 약의 부작용까지 서상희 기자가 비교했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미 식품의약국, FDA 승인을 받은 먹는 코로나 알약 치료제는 화이자의 팍스로비드와 머크사의 몰누피라비르입니다. <br> <br>두 약 모두 하루 2회, 5일간 복용하는데 팍스로비드는 한 번에 3알씩 머크사의 몰누피라비르는 4알씩입니다. <br> <br>둘 다 증상 발현 후 5일 이내 먹어야 합니다.<br><br>코로나 감염 초기에 먹으면 사망과 중증 위험을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팍스로비드의 중증예방률은 89%이고, 몰누피라비르는 30% 정도로 비교적 낮습니다. <br><br>[김정기 / 고려대 약대 교수] <br>"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적용했을 때는 효과가 더 떨어질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도 보고 있는 거죠. 화이자 팍스로비드가 최대한 떨어져도, 70~89% 사이 정도로 보이는데 머크의 몰누피라비르는 30%에서 더 떨어지면 과연 의약품으로서 가치가 있느냐 하는 정도까지 될 수도 있다는 거죠." <br> <br>몰누피라비르는 팍스로비드에 비해 사용 대상도 제한적입니다. <br> <br>미 FDA는 뼈와 연골 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18세 미만과 임신부들의 복용을 권고하지 않았습니다. <br><br>팍스로비드를 복용하면 미각 저하, 설사, 고혈압, 근육통 등이 몰누피라비르는 설사, 메스꺼움, 현기증 등이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. <br><br>정부는 재택치료자와 고위험군·경증·중등증환자에게 먹는 치료제를 활용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코로나는 국내에서 1급 감염병으로 분류된 만큼, 의사 처방 후 환자들에게 무료로 공급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상희입니다 <br>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서상희 기자 with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