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부동산 전망도 궁금하실 것입니다. <br> <br>부동산은 정부의 정책 방향이 특히 중요하죠. <br> <br>공급은 늘지만 대출 규제는 계속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이어서 박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내년에도 '물량 폭탄'을 예고한 정부. <br> <br>[노형욱 / 국토교통부 장관] <br>"총 46만호가 공급됩니다. 최근 10년 평균 분양물량보다 10만 호 이상 많은 수준으로, 기축 매수세를 확실히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" <br> <br>민간 분양 물량에 서울 도심 4천 호를 포함하고 장기적으로 205만 호를 투하하는 '압도적 공급'을 강조합니다.<br> <br>대출 조이기도 계속됩니다. <br> <br>가계부채 관리 일관성을 유지하겠다는 것인데 당장 다음 달부터 대출 총액 2억 원 초과 차주에게 강화된 원리금 상환 비율을 적용합니다.<br> <br>이를 통해 정권 출범 이후 좀처럼 안 잡히던 집값을 내년에는 주저앉힐 수 있다고 자신합니다. <br> <br>집값 꺾임이 곳곳에서 확인되고 있는 가운데 11월 잠정치에선 전국, 수도권, 서울 할 것 없이 모두 2019년 3월 이후 처음으로 동시에 떨어졌기 때문입니다.<br> <br>피할 수 없는 대세 하락이란 겁니다. <br> <br>치솟던 집값이 안정화되면 좋지만 문제는 브레이크 없이 떨어질 경우입니다. <br> <br>[박원갑 / 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] <br>"대출 금리가 올라가고, 집값이 크게 오르지 않는다면 영끌 빚투는 실차익은 커녕 깡통주택으로, 부담만 더 커질 수 있습니다." <br> <br>한은 역시 최악에는 국내 자산가격 붕괴에 따른 충격파로 내년 3분기 경제성장률이 -3.0%로 뒷걸음질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. <br> <br>부동산 시장 연착륙을 위한 어느 때보다 정교한 정책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성훈 이락균 <br>영상편집 : 이혜진<br /><br /><br />박지혜 기자 sophia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