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찰 잇단 부실 대응…경찰청장 사과 또 사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2021년 한 해는 사건사고만큼이나 경찰의 미숙한 대응이 부각됐던 한 해이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수사권 조정으로 책임이 높아진 상황에서 오히려 부실대응이 도마 위에 오르며 경찰 수장의 공개 사과도 잇따랐습니다.<br /><br />홍정원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작은 언덕 위에 인형과 과자가 수북이 쌓였습니다.<br /><br />양부모의 학대 끝에 숨진 16개월 입양아 정인이가 잠든 경기도 양평 추모공원입니다.<br /><br />살릴 기회만 3차례였습니다.<br /><br />잇따라 신고를 외면한 경찰의 부실 대응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결국, 15만 경찰 수장은 업무 시작 사흘 만에 공개 사과했습니다.<br /><br /> "학대 피해를 당한 어린 아이의 생명을 보호하지 못한 점에 대해 깊은 사죄의 말씀을 드립니다."<br /><br />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을 통해 경찰 책임론이 재점화했습니다.<br /><br />김 청장은 2주 뒤 다시 한번 고개를 숙였습니다.<br /><br /> "초동 대응과 수사 과정에서의 학대 피해 아동의 생명을 보호하지 못한 점에 경찰의 최고책임자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사과의 말씀을 드립니다."<br /><br />그리고 지난달, 경찰의 부실 대응이 또다시 여론의 심판대에 올랐습니다.<br /><br />경찰관들이 흉기를 든 가해자 앞에 피해자들을 두고 '도망'을 간 겁니다.<br /><br />김 청장은 다시 고개를 숙여야 했습니다.<br /><br /> "경찰 책임자로서 진심으로 사과드립니다. 자신을 보호해 주리라 믿었던 경찰이 현장에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위험에 빠진 국민을 제대로 지켜드리지 못했습니다."<br /><br />검경 수사권 조정으로 올해부터 수사 종결권을 얻어낸 경찰, 2021년은 한층 무거워진 책임감을 실감한 한 해로 기억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홍정원입니다. (zizou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