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공수처의 무차별적인 통신자료 조회 대상에는 외신 기자도 포함됐습니다. <br> <br>일본 아사히 신문이 서울 주재 기자의 자료를 뒤진 공수처에 조회 이유를 설명하라고 공개적으로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김범석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일본의 대표적 진보 매체인 아사히신문이 지면을 통해 공개적으로 밝힌 입장입니다. <br><br> “기자의 개인정보를 조회한 이유와 경위 해명을 요구한다”는 내용입니다. <br><br> 아사히신문 서울지국에 근무하는 한국인 기자는 최근 1년 간 개인정보 조회 유무를 통신사에 의뢰했습니다. <br> <br> 7월과 8월 두 차례 공수처가 이름과 주민등록번호, 주소, 휴대전화 가입일 등을 조회한 사실이 드러났고 <br> <br>통화 이력이나 통화 상대의 조회 유무까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. <br><br> 해당 기자는 전기통신사업법에 따른 국가 안보 위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안내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 아사히신문은 한국에서 올해 1월 출범한 공수처가 기자와 야당 국회의원, 법조인의 개인정보를 대대적으로 수집하고 있다는 사실도 전했습니다. <br> <br>[기무라 간 / 고베대 교수] <br>"일본 미디어와 접촉하는 사람이 누군지 알기 위한 것 아닐까. 어떤 사람이 일본 미디어의 여론을 결정하는지 그런 경계감 아닐까요." <br> <br> 공수처로부터 통신 조회를 당한 외신 기자는 아사히신문 외 한 곳 더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: 박용준 <br>영상편집: 강 민<br /><br /><br />김범석 기자 bsism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