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-푸틴 통화 기싸움 팽팽…우크라 사태 해법은 내년으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러 정상이 우크라이나 사태를 해소하기 위해 50분간 전화로 담판을 벌였습니다.<br /><br />팽팽한 기싸움 속에 기존 입장을 강조하다 끝나면서 우크라이나 사태 해법은 해를 넘기게 됐는데요.<br /><br />양국은 새해에도 대화는 계속 이어가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박진형 기자의 보돕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미러 정상이 이번엔 화상이 아닌 목소리로 만났습니다.<br /><br />50분간 통화 내용 대부분이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에 집중됐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 병력 집결에 강한 우려를 표하면서 긴장 완화를 위해 즉각적인 병력 철수를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시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경고를 잊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러시아의 국제결제망 퇴출과 수출제한 등 초강력 제재 카드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푸틴 대통령은 침공 가능성을 일축하면서<br /><br />나토의 동진 금지 등 러시아가 요구한 안전보장안을 수용하라고 압박하면서 서방의 제재가 이뤄진다면 양국 관계가 붕괴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이날 통화는 가시적 성과 없이 끝났지만, 양측이 새해에도 대화를 계속 이어가기로 합의하면서 협상의 모멘텀을 살렸다는 평가가 나옵니다.<br /><br />미측 고위 당국자는 "유의미한 진전이 가능한 영역과 합의가 불가능한 영역을 확인했다"며 "통화 목적은 내년 1월 회담의 '논조'를 정하기 위한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--<br /><br />양국은 내년 1월 10일 제네바에서 차관급 실무협상을 벌입니다.<br /><br /> "회담에서 우리는 러시아 안보에 대한 법적으로 확고안 보장안을 미국 측으로부터 받아낼 것입니다."<br /><br />한편, 러시아와 서방 간 논란을 빚고 있는 '노르트 스트림-2' 가스관의 두 번째 라인에 대한 가스 충전이 마무리되면서 가동이 초읽기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러시아가 새 가스관을 서방과 우크라이나 압박을 위한 '정치적 무기'로 사용하려 할 경우 추가 제재를 가하겠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진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