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사회적 거리두기 연장으로 소상공인들과 자영업자들의 큰 희생이 불가피합니다. <br> <br>정부는 설 전에 자영업자 55만 명에게 손실보상금 500만 원을 당겨서 지급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김예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(지난 17일)] <br>"선제적인 선보상·선지원 조치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." <br><br>선거를 앞두고 여당과 정부는 빠르게 움직였습니다. <br> <br>소기업과 소상공인들에게 내년 1분기 지급 예정이던 손실보상금 500만 원을 미리 주기로 한 겁니다. <br> <br>[권칠승 / 중소벤처기업부 장관] <br>"신청한 소기업과 소상공인 대부분이 설연휴 시작 전에 지원받을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습니다." <br> <br>정부가 개설해주는 일종의 '마이너스 통장'입니다. <br> <br>향후 손실액이 대출금보다 적어서 차액을 갚아야 할 경우엔 연 1%로 최장 5년간 상환하면 됩니다. <br><br>올해 3분기 신속보상 대상자로 선정됐던 약 70만 개사 중 이달 영업시간 제한 조치로 피해를 본 55만 개 업체가 대상입니다. <br> <br>방역대책을 이행해야 하고, 매출감소가 확인돼야 한다는 조건이 붙었습니다.<br> <br>자영업자들은 손실에 비해 지원금이 턱없이 낮다는 반응입니다. <br> <br>[김철진 / 서울 중식당 운영] <br>"저희 입장에서 500만 원 가지고 지금 연말에 지출할 거, 이런 거 해결을 못합니다." <br> <br>끝모를 거리두기 연장에도 불만을 떠뜨렸습니다. <br> <br>[김미현 / 광주 한식당 운영] <br>"계속 2주, 2주 연장하면 앞으로 다음주 2주 안에 끝나라는 법이 없잖아요. 진짜 살아가기가 힘듭니다. 진짜. 저축해놓은 돈도 다 떨어져버리고. 이제는 악으로만 버틸 수밖에 없어요." <br> <br>채널A 뉴스 김예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명철 이기현 김한익 <br>영상편집 : 김문영<br /><br /><br />김예지 기자 yeji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