초장기 집권 터 닦은 시진핑…'3연임 대관식' 과제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새해 눈여겨 볼 국제뉴스 가운데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3연임 여부도 빼놓을 수 없을 겁니다.<br /><br />지난 2012년 임기를 시작한 시 주석은 이미 2018년 헌법에서 '국가주석직 3연임 제한' 조항을 삭제하며 사실상 장기집권의 길을 열어뒀는데요.<br /><br />올 가을 제20차 당대회에서 시 주석의 3연임이 확정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베이징 임광빈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해 7월 열린 중국 공산당 100주년 기념식.<br /><br />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00년간 중국 공산당이 거둔 성과를 자평하며 중화민족의 부흥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역사적으로 절대빈곤 문제를 해결했으며 사회주의 현대화 강국 전면 건설이라는 제2의 100년 목표를 향해 힘차게 매진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넉달 뒤 열린 제19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, 이른바 6중 전회에서는 중국 공산당 100년 역사상 세번째 '역사결의'도 채택했습니다.<br /><br />자신이 주창해 온 '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'을 부각했고, 스스로를 마오쩌둥, 덩샤오핑에 이은 제3대 영도자 반열에 올려 뒀습니다.<br /><br />사실상 올 가을 개최되는 20차 당대회에서 시 주석의 장기집권을 공식화 하기 위한 명분 쌓기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안정적인 3연임 확정을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무엇보다 안정적인 경제 성장이 필수인데, 오는 3월 열리는 양회에서 내놓을 경제 성장률 목표치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최근 경제성장이 둔화하는 가운데 빈부격차를 완화할 실질적 조치를 내놓을 수 있느냐가 과제로 지적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과의 전략경쟁 속에서 시 주석이 미중관계를 얼마나 안정적으로 이끌어가느냐도 숙제입니다.<br /><br />핵심 이익으로 꼽는 대만 문제를 두고는 올해도 군사적 충돌 위험이 더욱 고조될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평가입니다.<br /><br />베이징 동계올림픽도 이제 한 달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을 비롯한 주요 서방국가들의 외교적 보이콧 속에서 최근의 코로나 확산세까지, 시 주석이 극복해야 할 주요 과제로 꼽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임광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