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김영수 앵커 <br />■ 출연 : 백순영 /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닷새 만에 4천 명 아래로 내려가며확산세가 둔화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위중증 환자는 13일 연속 1천 명대, 오미크론 변이 감염자도 1,200명을 넘어서며안심하기에는 이르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와함께 코로나19 상황 짚어보겠습니다.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[백순영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 <br />오늘 확진자는 저희가 이전에 경험했던 거보다 줄었네요. 어떻게 보세요? <br /> <br />[백순영] <br />확연한 감소세가 있네요. 지난달 15일날 7850명이었는데요. 이것을 정점으로 계속 확연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요. 오늘 이 숫자는 주말에 진단검사 수가 줄어든 영향은 있지만 3833명이라는 것은 실제로 12월 이후 최저 수치거든요. 게다가 전일 대비는 583명 줄었고 지난주 일요일 발표에 5489명보다도 1586명이나 줄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유행의 확산세 자체는 상당히 확연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기는 하지만 문제는 위중증환자가 아직도 1000명이 넘고 있다는 부분하고 특히 사망이 69명이 나와서 누적 사망률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에 있습니다. 누적 사망률이 0.89%고요. 지금 이 0.89%보다 지금의 사망률이 더 높은 상황이라서 아직은 안정이 필요하고 우려가 되는 상황이 사망률, 위중증화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 위중증환자가 줄지는 않고 계속 느는 이유는 어디에 있습니까? <br /> <br />[백순영] <br />일단 지난주만 해도 확진자 수가 굉장히 많았었기 때문에 이것이 확진된 후 1~2주 정도의 시차를 두고서 위중증환자가 나오기 때문에 이 위중증환자의 감소는 앞으로 한 일주일 정도는 더 이어지면서 감소 추세는 계속 가겠지만 아직도 많은 위중증환자가 나오고 있는 건 전주, 그전 주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죠. <br /> <br /> <br />위중증환자가 치료가 어려운 부분도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겁니까? <br /> <br />[백순영] <br />꼭 그렇지는 않습니다. 다만 우리가 병상 대기가 한동안 걸리지 않았었습니까? 그때 위중증화율이 높아진 건 사실이에요. 모든 사람들이 증상이 악화돼도 갈 수 있는 마땅한 병실이 없었기 때문에 모든 환자들이 위중증화가 높아지면서 중증환자들도 많이 사망했었던 상황이 있는데 지금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10210211664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