월북자가 첫 철책선을 넘을 때 경계 시스템에 경고음이 울렸지만, 군은 현장 출동을 하고도 이상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3시간이 지나서야 뒤늦게 상황을 파악한 것으로 드러나 지휘라인에 대한 문책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최전방 철책에 달린 과학화 경계 시스템인 광망센서가 경고등과 함께 경고음을 울린 것은 저녁 6시 40분쯤, <br /> <br />군용 CCTV도 팝업창을 통해 누군가 철책을 넘었다는 사실을 경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초동 조치 부대는 확인 결과, 이상이 없다고 판단했고, CCTV 감시병도 당시 월북 상황을 인지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 3시간쯤 지나 저녁 9시 20분에야 TOD 열상 장비로 월북을 시도하는 1명이 포착됐습니다. <br /> <br />철책 확인과 CCTV 영상 확인이 적극적으로 이뤄졌다면 3시간 전에 작전을 펼칠 수 있었지만 골든타임을 놓치는 바람에 신병 확보에 실패한 겁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 월북이 발생한 22사단은 험준한 산악과 긴 해안을 함께 경계하는 부대로 사건·사고가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2020년 11월엔 북한 남성이 최전방 철책을 넘어왔는데 과학화 경계 시스템 문제로 14시간이 넘어서야 신병이 확보됐고, <br /> <br />지난해 2월엔 경보가 울렸지만 감시병의 실수로 놓친 사이 북한 남성이 해안을 통해 오리발을 착용하고 귀순했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서욱 국방장관이 최전방 경계의 기강을 강조했는데도 이런 일이 또 발생했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[서욱 / 국방부 장관 (지난해 2월) : 사람이 이 과학화 운용 시스템을 잘못 운용하면 이건 무용지물일 수도 있습니다.] <br /> <br />합참이 본격 조사에 나섰는데, 보고체계 허점과 매뉴얼 준수 위반 등이 확인되면 지휘라인에 대한 문책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군은 경계 시스템에 인공지능(AI)을 적용하는 등 개선을 약속했지만, 정작 이번에 월북이 이뤄진 지점엔 AI가 적용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입니다.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10222005811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