식재료 급등에 차도 못 빌려 뉴욕 구호단체 시름 <br />美 사탕 기업, 생산직원 부족해 일부 공급 포기 <br />지난해 11월 美 소비자물가지수 6.8% 급등 충격<br /><br /> <br />지난해 코로나19에 시달린 미국 경제는 40년 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까지 겹치면서 심각한 이중고를 겪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은 올해 양적완화의 축소와 함께 최소 세 차례 금리 인상에 나설 계획인데, 과연 돈줄 죄기로 물가를 잡을 수 있을지가 올해 세계 경제의 주요 화두입니다. <br /> <br />이광엽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미국 뉴욕에서 무상제공 음식을 찾는 발길이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식재료 값이 급등하고 운송차마저 제때 구하지 못하면서 구호단체의 시름은 깊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[그레고리 실버맨 / 美 뉴욕 빈민구호단체 대표 : 지난 몇 달간 음식 수요가 계속 늘어 다른 운송차를 빌려야 했지만 구하지 못하다 한 달이나 걸렸습니다.] <br /> <br />사탕을 생산하는 이 업체는 지난 크리스마스 때 주문량이 크게 늘었지만 직원을 구하지 못해 일부 공급을 포기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사탕류 가격은 10%가량 올라 소비자 부담만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[앤드류 슈만 / 해먼드 캔디 대표 : 직원 고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임금도 계속 상승해서 노동력 부족으로 시장에서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졌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해 1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는 1982년 이후 최대인 6.8%나 급등해 충격을 안겨줬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사태가 2년간 지속한 여파로 식료품값뿐만 아니라 자동차, 에너지, 주거비용 등이 일제히 치솟아 미국인들의 생활고가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는 양적완화의 축소인 이른바 테이퍼링을 올해 3월쯤 조기에 마무리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올해 상반기부터 최소한 세 차례 기준금리를 올리는 등 물가를 잡을 수 있는 수단들을 총동원할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(지난해 12월 11일) : 물가인상은 정말 걸림돌이 되기 때문에 가정 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. 식료품점에서 무엇을 사든지 돈을 더 내야 하는 상황이어서 문제가 됩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공급망 병목 현상이 여전하고 오미크론의 폭발적 확산으로 구인난이 지속할 수 있어서 과거 수준의 물가로 돌아가기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알렉스 펠레 / 美 미즈호증권 이코노미스트 : 물가상승 추세가 지금처럼 계속 정점에 머물지는 않겠지만, 그렇다고 과거 수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광엽 (kyup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103002549922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