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돌연변이 46개' 프랑스서 새 변이 발견…12명 감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남아프리카에서 처음 보고된 오미크론 새 변이가 세계 각지로 번지면서 각국이 대응 방법에 혼란을 겪는 와중에 프랑스에선 새 변이가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돌연변이를 46개나 보유해 백신을 무력화하는 능력과 전파력이 우려를 낳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오미크론을 능가하는 건 아닌지 걱정입니다.<br /><br />국제 담당 기자 연결해 보겠습니다. 한상용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코로나19의 새 변이가 발견된 곳은 지중해와 맞닿은 프랑스 남부의 항구도시 마르세유 인근 지역입니다.<br /><br />새 변이는 남부 지방에서 소규모로 확산 중이라고 외신은 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마르세유에서 12명에게 전파된 것으로 알려졌는데, 첫 번째 확진자는 진단 사흘 전 아프리카 카메룬에 다녀온 이력이 있습니다.<br /><br />그 때문에 이번 변이도 진원이 아프리카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세계보건기구, WHO는 이 변이를 새 변이로 공식 지정하지는 않은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지금은 발견 기관인 '마르세유 IHU 지중해 감염센터'의 이름을 따서 'IHU'로 불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변이의 특징은 오미크론과 마찬가지로 돌연변이 수가 적지 않다는 겁니다.<br /><br />46개의 돌연변이와 37개의 유전자 결핍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오미크론처럼 백신 접종으로 형성된 면역 체계를 회피하는 능력과 감염력이 높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이 가운데 E484K라는 돌연변이는 백신 회피 능력이, N501Y 돌연변이는 전파력이 두드러진 것으로 과학자들은 진단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많은 국가에서 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오미크론에는 50개 이상의 돌연변이가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프랑스도 오미크론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고 하던데, 이 변이가 제2의 오미크론이 되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는 없을까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말씀하신 것처럼 프랑스는 오미크론에 이어 새 변이까지 그야말로 엎친 데 덮친 격이 될까 걱정이 태산입니다.<br /><br />지난주 나흘 연속 20만 명이 넘는 신규 확진자가 나왔는데, 오미크론이 신규 확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체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1,000만 명을 돌파해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많고, 사망자도 12만 명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외신들은 새 변이가 오미크론을 제치고 프랑스에서 지배종이 될 가능성은 현재로선 장담하기 어렵다고 보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프랑스 이외 다른 국가에선 아직 새 변이가 포착되지 않은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