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김기남 / 접종기획반장] <br />3차 접종률이 높아지면서 고령층의 확진자는 줄고 있습니다. 전체 확진자 중 60세 이상의 비중이 12월 1주 35.8%에서 12월 5주 21%로 감소하였고 오늘 기준으로는 15.6%로 감소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60대 이상 확진자 수도 12월 1주 1만 1000명대에서 12월 5주는 6000명대로 크게 줄었습니다. 중앙방역대책본부는 50세 이상 2차 접종까지 완료하신 분과 3차 접종까지 완료하신 분들 간에 예방접종의 효과를 분석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 3차 접종을 할 경우 2차 접종 시에 비해 감염 위험은 82.8%, 위중증 위험은 96.9%, 사망 위험은 99.1%까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 확진자 중 코로나19 예방접종력에 따른 중증 진행 위험을 분석한 결과 3차 접종 후에는 확진이 되더라도 미접종 상태에서 확진 시보다 중증, 사망으로 진행할 위험이 93.6% 낮게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미접종군은 확진 시 2차 접종 후 확진자보다도 중증 및 사망 위험은 5배가 높았습니다. 이러한 결과는 3차 접종을 할 경우 코로나19 감염 예방의 효과가 크고 돌파감염 시에도 중증, 사망 위험을 크게 줄여준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<br /> <br />1월 말까지는 전체 인구의 약 75%인 3800만 명이 3차 접종 대상자가 됩니다. 1월 중 새롭게 접종 간격 3개월이 도래하는 분은 약 1200만 명으로 대부분 지난 10월까지 2차 접종을 받은 50대 그리고 40대 이하의 연령층에 해당이 됩니다. <br /> <br />청장년층은 고령층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코로나로 인한 중증이나 사망 위험이 낮지만 사회활동이 가장 활발한 계층이기 때문에 감염에 노출되거나 감염 시 전파 가능성이 높습니다. 또한 전파력이 높은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이 될 경우 단기간에 확진자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고 이는 고위험군의 감염과 사회 전체의 중증 위험도를 높이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18~59세까지 연령층의 경우 2차 접종 후에 3개월이 지났으면 면역효과를 높이기 위해 빠르게 3차 접종이 필요합니다. 3차 접종 대상은 사전예약 누리집에서 예약하시고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접종해 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잔여백신은 당일 예약 및 접종도 가능합니다. 추진단은 보다 신속하게 3차 접종을 실시하기 위해서 부속의원이 있는 사업장의 경우 1, 2차 접종 때와 같이 3차 접종도 사업장 내 자체 접종을 실시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수요 조사를 통해서 30여 개 사업장이 자체 접종을 희망하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replay/view.php?idx=21&key=2022010614161749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