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'극초음속미사일 발사' 규탄 목소리…외교적 대화 촉구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전날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발사했다고 밝힌 가운데 국제사회도 규탄과 우려의 목소리를 냈습니다.<br /><br />신년 벽두부터 북한이 군사적 행동을 하면서 이 지역의 평화를 깰 수 있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미국은 북한의 도발에도 외교적 접근 방식은 유지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한상용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제사회가 북한의 탄도 미사일 시험 발사에 우려를 표시했습니다.<br /><br />올해 북한으로부터 나온 첫 행동이 기대했던 대화가 아닌 무력 시위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고 주장한 가운데 미국은 발사 당일 북한 발사체를 탄도미사일로 규정하고 규탄했습니다.<br /><br />미 국무부 대변인이 "안보리 다수 결의안 위반이며 이웃 국가와 국제사회에 대한 위협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다만 "미국은 대북 외교적 접근에 대한 방침을 유지할 것이며 북한이 대화에 나서기를 요구한다"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는 조 바이든 미 행정부가 유지해 온 '외교적 대화에 기반한 실용적 접근'이라는 대북 정책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뜻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과 통화에서도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면서도 "한반도의 항구적 평화와 완전한 비핵화를 성취하기 위한 협력도 논의했다"고 국무부는 전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은 관련국의 신중한 대응을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 "한반도 평화와 안정은 쉽게 오지 않는다. 현재의 형세 아래에서 유관 각국은 큰 국면을 보며 언행을 신중히 하고 대화와 협상의 바른 방향을 견지해야…"<br /><br />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"지속가능한 한반도의 평화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외교적 관여와 대화라는 입장"이라며 북한에 대화 재개를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이달 중순 미국 하와이에서 열릴 예정이던 한미일 3국 국방장관 회담은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연기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상용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