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 세계를 강타한 인플레이션 충격 속에 미국이 '돈줄 조이기'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풀린 돈이 급속히 회수될 수 있다는 전망에 글로벌 금융시장은 휘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호준석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 이후 푼 돈이 부메랑이 돼 물가가 급등하는 인플레이션이 각국을 휩쓸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카자흐스탄의 대규모 시위도 LPG 가격 정책이 방아쇠가 됐지만, 근본 원인은 인플레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를 잡아도 물가를 못 잡으면 정부도 위험해집니다. <br /> <br /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: 경기가 회복되는데도 많은 사람들이 불안해 합니다. 이유는 다 아는 대로 물가 상승입니다.] <br /> <br />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산하 연방공개시장위원회,FOMC는 당초 예상보다 이른 시점, 또는 더 빠른 속도로 금리를 올릴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금리 인상 이후 더 강력한 카드인 '양적 긴축'을 시작할 가능성도 거론했습니다. <br /> <br />'양적 긴축'은 '양적 완화', 즉 시중에 돈을 풀기 위해 사들였던 수조 달러어치의 국채를 다시 내다 파는 것으로, 실행된다면 시장의 예상보다 훨씬 이른 시점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내용의 지난달 FOMC 정례회의 보고서가 공개되자, '3월 금리 인상, 상반기 양적 긴축' 가능성이 공론화됐고, 저금리에 힘입어 고공 행진하던 뉴욕 증시 등 글로벌 증시와 각국 외환시장이 얼어붙었습니다. <br /> <br />고용 호조를 등에 업은 미국의 긴축 카드에 경기 부양과 인플레 잡기의 딜레마에 빠져 있는 각국 금융당국의 계산은 더 복잡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호준석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호준석 (junes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10623103260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