영업시간 제한이 없던 지난해 11월 일상회복 때, 카드 사용액과 구인이 크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환자 증가에 거리두기 강화가 이어지면서 신년 경제 지표에 다시 빨간불이 들어왔는데요. <br /> <br />거리두기의 효과는 대유행이 반복될수록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권남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'일상회복'의 힘은 고스란히 숫자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11월 일상회복 때 카드 승인액은 1년 전보다 11조 원 가까이 뛰었습니다. <br /> <br />일할 사람을 찾는 구인수는 지난해 11월 한 달에만 27만 건으로 최근 3년 가운데 최대치였습니다. <br /> <br />[이창호 / 호프집 업주 (지난해 11월) : 그동안 촉박하게 시간에 쫓겨서 드시다 나가셨으면, 이제는 좀 편안하게 드시다 나갈 수 있는….] <br /> <br />하지만 이어진 '거리두기' 강화에 상황은 급변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기가 나빠질 거라 예상하는 소매유통업체들의 수가 더 많아졌고, 소비자들의 소비 심리 역시 위축됐습니다. <br /> <br />고용도 마찬가지여서, KDI는 최근 대면서비스업 일자리 회복세가 약화할 수 있다고 진단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거리두기 강화가 반복된 지난 2020년엔 소상공인 사업체 종업원들은 하루 2천 명꼴로 해고당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미호 / 고깃집 운영 (지난해 12월) : 가게에 총 7명이 일을 했는데, 지금은 제 친동생이랑 둘이서만….] <br /> <br />지난해 두 달과 올해까지, 방역조치에 따라 경기가 롤러코스터를 탄 셈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거리두기의 효과가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중앙대병원 감염내과 연구팀이 감기 바이러스를 통해 코로나19 거리두기의 효과를 살펴봤는데, 대유행이 반복될수록 거리두기의 최대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 더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거꾸로 효과의 지속성은 갈수록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[최성호 / 중앙대병원 감염내과 교수 :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사람들이 반응하는 속도라든지 효과라든지 이런 것들이 많이 떨어지는 것이 보이거든요. 피로 현상이라고 봐야죠.] <br /> <br />거리두기의 효과는 낮아지고 희생은 쌓여가는 상황에서, 방역과 민생을 함께 챙길 수 있는 더 쓸모있는 방역대책이 절실합니다. <br /> <br />YTN 권남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남기 (kwonnk0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010917535815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