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교착 국면 속 '대북 백신협력' 주목…실현 가능성은?

2022-01-10 0 Dailymotion

교착 국면 속 '대북 백신협력' 주목…실현 가능성은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최근 북한이 베이징올림픽 불참을 공식화하면서 올림픽을 계기로 남북관계에 징검다리를 놓으려던 정부의 구상은 무산됐고, 결국 남은 카드는 대북 백신 협력밖에 없다는 얘기가 나옵니다.<br /><br />백신 협력이 현실적으로 가능할지, 지성림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최근 여권 등 일각에서는 임기가 4개월밖에 남지 않은 문재인 정부가 남북관계 돌파구 마련을 위해 시도해볼 수 있는 마지막 카드는 '백신 협력'뿐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옵니다.<br /><br />이런 생각의 밑바탕에는 북한이 올해도 코로나19 방역을 '국가사업의 제1순위'라며 중시하는 만큼 최소한 백신에는 관심이 있을 거란 판단이 깔려 있습니다.<br /><br />백신 협력의 당위성은 그동안 충분히 설명해왔습니다.<br /><br />한반도는 하나의 '생명 공동체'여서 북한 주민이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해야 대한민국 국민도 안전하다는 명분입니다.<br /><br />백신 구매 과정에서나 북한으로의 운송 등을 위해서는 미국의 동의와 협력이 필요하겠지만, 비용은 자체로 마련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럴 때 쓰려고 비축해둔 남북협력기금이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전 세계에서 가장 선호하는 화이자 백신으로 전량 구매한다고 해도 모든 북한 주민이 접종 혜택을 충분히 받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국민의 공감대입니다.<br /><br />정부의 공식 입장은 현재로서는 백신 협력과 관련해 구체적인 방안을 검토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 "우리 국민의 안전이 충분히 확보되고,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는 시기에 북한의 의사, 국제사회 동향 등을 보면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입니다."<br /><br />북한의 수용 여부도 관건입니다.<br /><br />사람은 물론이고, 물건에도 바이러스가 묻어온다며 외부로부터의 물자 반입을 극도로 꺼리는 상황에서 대량의 물자와 인원의 이동이 필수인 백신 지원을 수용할지 의문입니다.<br /><br />특히 백신 협력 논의를 위해서는 남북 간 화상 회담이라도 열려야 하지만, 북한은 영상회담 시스템 구축을 논의하자는 우리 측 제안을 5개월 넘게 무시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