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일 우리나라에 들어올 예정인 화이자의 코로나19 먹는 치료제는 코로나19 알약 2알과 함께 에이즈 치료제 1알로 구성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치료제에 왜 에이즈 치료제가 쓰이는지 궁금하실 분들 많을 텐데요, 과학적으로 이유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성규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입원과 사망 비율을 88%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화이자의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. <br /> <br />팍스로비드는 코로나19 알약 2알과 기존에 에이즈 치료제로 쓰인 알약 1알로 구성됐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치료 알약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증식에 필요한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해 결과적으로 바이러스 증식을 차단합니다. <br /> <br />함께 먹는 에이즈 알약은 코로나 알약이 간에서 분해되는 것을 막아, 체내에서 약효가 최대한 오랫동안 지속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. <br /> <br />[백순영 /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: (코로나19 알약이) 이 효과(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)를 유지하면서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혈중에서 지속적인 농도가 유지돼야 하는데 그것을 리토나비르(에이즈 알약)가 그 부분의 효과를 냅니다.] <br /> <br />에이즈 알약은 이처럼 코로나 알약의 전투력을 높이지만, 에이즈 알약으로 인해 같이 복용하면 안 되는 약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고지혈증 치료제 등의 경우 에이즈 알약이 체내 분해를 막아 독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우주 /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: (환자가) 병용하는 약물과 서로 부딪히지 않는지, 독성을 증가시키지 않는지를 미리 의료진은 병력 조사를 잘해서 처방할 때 처방해서는 안 된다, 처방할 때 주의해야 한다를 알고 처방해야 합니다.] <br /> <br />입원·사망 비율 감소 효과가 30%로 상대적으로 낮은 미국 머크사 MSD의 먹는 치료제 몰누피라비르는 팍스로비드와 작용 방식이 완전히 다릅니다. <br /> <br />MSD의 먹는 치료제는 RNA 유사체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RNA를 복제할 때 이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RNA 유사체가 우리 몸의 정상 세포에 삽입되면 유전자 변이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 사용에 신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지금까지 화이자와 MSD의 먹는 치료제 100만4천 명분의 구매 계약을 체결했으며, 화이자의 먹는 치료제만 긴급사용을 승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성규 (sklee9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011201135730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