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, 입원도 사상 최대…"현 추세라면 대부분 감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미국은 하루 감염자와 입원 환자 수 모두 역대 최다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.<br /><br />미 보건당국 관계자는 이런 상황이라면 대부분이 코로나에 걸릴 것이라며 병원과 필수 서비스 기능을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했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 미국의 코로나 상황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경희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미국은 현지시간 10일 하루에만 141만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아 또 다시 역대 최다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연말부터 이어진 폭증세가 꺾이지 않고 계속 가팔라지고 있는 건데요.<br /><br />입원 환자도 증가세가 커지면서 가장 많았던 작년 1월의 기록 14만 2천여명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코로나19로 입원한 사람은 14만 6천명으로 2주 전에 비해 2배로 늘었는데요.<br /><br />이 추세라면 이달 말 쯤에는 27만명에서 30만명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린이 입원환자도 사상 최대인 5천명에 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냇 우드콕, 미 식품의약국 국장대행은 의회에 출석해 현 추세라면 대대부분의 사람들의 코로나19에 걸릴 것이라며 이제 병원과 필수적인 서비스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미국의 누적 확진자가 6천만명으로 전체 인구 3억 4천만명의 5분의 1에 달하고 하루 100만명 안팎씩 감염되는 지금 추세가 더 이어진다면 감염을 관리하기는 어려워질 것이란 겁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에는 올해 경제 전망 관련 소식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세계은행이 올해 세계 경제성장률을 4.1%로 하향 조정했는데, 오미크론 여파로 더 낮아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세계은행이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4.1%로 하향 조정하며 성장세가 크게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<br /><br />작년 6월 보고서에서 예측한 것보다 0.2%포인트 떨어진 건데요.<br /><br />작년 5.5%에서 올해 4.1%, 내년 3.2%로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는데,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지난해 경제가 강력하게 반등한 기저효과에다 대규모 재정·금융 정책의 효과가 점차 사라질 것이란 예상 등이 반영된 것입니다.<br /><br />세계은행은 만약 오미크론 급증이 이어진다면 세계경제 전망치가 0.7%포인트 하락한 3.4%로까지 낮아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들이 인플레이션 여파로 예상보다 빨리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성장률 전망치를 추가로 깎아내릴 수 있다고 예상했는데요.<br /><br />전 세계적으로 2008년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는 물가 상승이 각국의 통화정책을 제약하고 있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미 상원 금융위 인준 청문회에 출석해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필요할 경우 기준금리 인상을 더 올릴 수 있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연준의 양대 목표인 최대고용 달성과 연 2% 이내 인플레이션 억제 가운데 지금은 물가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만약 앞으로 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면 그렇게 할 것입니다. 우리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우리의 수단을 사용할 것입니다. 어떤 면에서는 높은 인플레이션이 최대 고용의 달성과 장기적인 확대에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합니다."<br /><br />연준이 연내 3차례 금리 인상 방침을 밝힌 가운데 3월 조기 인상을 단행해 연내 4차례 이상 올릴 수 있단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