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40년 만에 최대 폭인 7%나 급등하는 등 새해 들어서도 미국의 물가 오름세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금리 인상 시기가 빨라져 3월부터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강태욱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노동부는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 1982년 6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전월인 11월의 6.8%보다 큰 7%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전월 대비로는 0.5% 올라 11월 0.8%보다 오름폭이 둔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주거비와 중고차, 식료품이 지난달 물가상승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물가 급등의 주범으로 꼽히는 중고찻값은 전월보다 3.5%, 지난해 같은 달보다 37.3% 치솟았습니다. <br /> <br />공급망 차질과 상품 수요 쏠림 현상으로 빚어진 인플레이션 사태가 최근 오미크론 변이로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그렉 맥브라이드 / 뱅크레이트 수석 재무분석가 : 대유행 자체가 공급망을 파괴해왔으며 계속해서 붕괴시키고 있습니다. 그리고 수요는 높지만, 공급이 따라가지 못할 때 그것이 가격 인상의 요인이 되고 있고 그것이 바로 우리가 보고 있는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여기에 부족 상태인 노동력 공급이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더욱 줄어들면서 비용 상승을 부채질했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기업들이 부족한 일손을 채우느라 급여를 올리면서 소득이 늘어난 가계의 씀씀이가 커졌고, 기업은 불어난 인건비를 감당하려 상품 가격을 올리면서 물가 상승의 악순환이 일어나고 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는 인플레이션 억제를 최대 과제로 천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제롬 파월 /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: 경제와 강력한 노동시장을 지원하고 더 높은 인플레이션이 고착화하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의 도구를 사용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이에 따라 이르면 3월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할 것이라는 관측이 더욱 탄력을 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시장은 물론 최근 연준 내부에서도 3월 금리 인상 시작을 촉구하는 공개 발언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연준은 올해 3차례 인상을 시사했는데 시장에서는 4차례 이상 이뤄질 것이란 전망까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강태욱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태욱 (taewook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113080823908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