현대산업개발 신축 아파트 붕괴사고를 수사 중인 경찰이 현대산업개발과 하청업체의 이익 구조와 맞물린 지지대 해체, 붕괴 층을 지지하던 수십t 규모 구조물을 치명적인 붕괴원인으로 지목했다.<br /> <br /> <br /> <br /> ━<br /> 경찰, 1차 수사결과 발표<br /> <br /> <br /> 광주경찰청 신축아파트 붕괴사고 수사본부는 25일 ▶38층 이하 지지대(동바리) 조기철거 ▶39층 아래 PIT층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 하중 등을 주요 붕괴원인으로 보는 1차 수사결과를 발표했다. <br /> <br /> 소방당국은 지난 11일 광주광역시 서구 화정동 신축 아파트 건물이 붕괴할 당시 39층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이뤄지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했다. ‘국가건설기술표준’상 30층 이상 건물은 타설 층 아래 3개 층에 상층부 콘크리트 중량을 견뎌줄 동바리가 있어야 한다.<br /> <br /> <br /> 경찰은 지난달 29일 36층과 37층 동바리가 제거됐고 이틀 뒤 타워 크레인을 이용해 건물 밖으로 내려진 사실을 확인했다. 지난 8일에는 38층 동바리가 제거돼 지상으로 하역됐다. <br /> <br /> 경찰이 전문가 등을 통해 파악한 결과 기준상 붕괴 건물로 따져보면 ▶PIT층(배관설비가 지나는 층) ▶38층 ▶37층에 동바리가 있어야 했다. 현대산업개발의 자체 시공 지침에도 3개 층은 동바리가 있어야 했지만, 지켜지지 않았다. <br /> <br /> <br /> ━<br /> “동바리 철거, 치명적 붕괴원인” <br /> <br />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043402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