확진 7천명시 오미크론 대응체제…동네병원서도 진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방역당국이 다음 달 말 하루 최대 3만명의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방역체계 대전환에 나섭니다.<br /><br />체계 전환 기점은 확진자 7,000명부터인데요.<br /><br />전파력이 거센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되면 기존 대응방식으로는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어떤 내용인지 김장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질병관리청이 앞으로 한두 달 내 신규 확진자를 예상한 그래프입니다.<br /><br />거리두기 완화가 아예 없는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시나리오 모두 2월 말이면 하루 확진자가 1만명을 넘고 최대 3만명에 육박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앞으로 일주일 뒤면 우세종이 될 것으로 예측되는 오미크론의 빠른 확산세가 원인인데, 정부가 이를 감안해 방역체계를 전환합니다.<br /><br /> "고위험군 관리와 중증화 방지를 주요 목표로 두고 경증 환자는 지역 내에서 동네 병·의원 중심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체계로 전환을 준비해 나가겠습니다."<br /><br />대응체계 전환 기준은 하루 확진자 7,000명부터로, 입국 검역, 진단검사, 역학조사, 백신접종, 사회유지 대응전략 등 5가지 분야에서 그 틀을 바꾸게 됩니다.<br /><br />구체적으로 확진자 격리기간은 현행 10일에서 7일로 단축하고, 동네 병원에서도 신속항원검사를 받아 방역패스로 쓸 수 있게 됩니다.<br /><br />PCR 검사는 고위험군부터 우선순위를 정해 하되, 검사 역량도 하루 85만건으로, 10만건 더 늘립니다.<br /><br />해외입국자가 내야하는 PCR 음성확인서는 출국일 기준 48시간 이내 검사만 인정됩니다.<br /><br />3차 접종은 꾸준히 확대하면서 사회필수기능 유지를 위한 비상 업무계획을 마련하고, 모바일 기반 시민참여형 역학조사도 병행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대응체계 전환을 통해 오미크론 위기를 넘긴 뒤, 일상회복을 진행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.<br /><br />#오미크론 #코로나 #자가격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