현 거리두기 3주 연장…오미크론 대응 '시간벌기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가 설 연휴를 포함해 3주 더 이어집니다.<br /><br />사적 모임 허용 인원만 6명으로 늘었는데요.<br /><br />오미크론 변이의 확산을 최대한 지연시키는 데 방점이 찍혀 있습니다.<br /><br />서울 인사동 거리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민혜 기자,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서울 인사동에 나와 있습니다.<br /><br />평소 저녁도 거리두기 조치로 이곳 거리, 조금은 한산했는데요.<br /><br />주말을 앞둔 오늘도 분위기는 비슷합니다.<br /><br />식당과 카페도 저녁 9시면 문을 닫아야 하는데요.<br /><br />이런 조치 3주간 더 이어집니다.<br /><br />달라지는 게 하나 있다면, 사적 모임 인원입니다.<br /><br />6명으로 두 명 더 늘어납니다.<br /><br />운영시간 완화보다 사적 모임 인원을 조금 늘리는 것이 위험부담이 덜하다는 방역당국의 시뮬레이션 분석에 따른 것입니다.<br /><br />확산세가 다소 주춤해졌지만 정부가 이 같은 거리두기 조치를 좀 더 이어가기로 한 이유는 오미크론 확산 우려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미크론이 위협적이라면, 국내에선 지금 어느 정도입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미크론의 전파력, 어느 정도인지 이웃나라 일본의 사례를 먼저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일본에서는 이달 1일 하루 456명에 불과했던 확진자 수가 8일에는 8,300명으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8일간 18배가 급증한 건데, 오미크론 영향으로 파악됩니다.<br /><br />오미크론 변이 국내발생 검출률은 13일 0시 기준 22.8%입니다.<br /><br />처음 국내에서 발견된지 두 달도 채 안 돼 상당히 빠르게 퍼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도 1월 말에는 우세종, 그러니까 확진자 중 50%가 넘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증화율이 델타보단 낮다지만 확진자가 대거 늘면 입원환자가 늘고, 의료체계에도 부담이 될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이에 최대한 오미크론의 우세화 시기를 늦춰서 대응할 시간을 벌겠다는 전략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그럼 구체적으로 어떤 계획을 세우고 있는지 좀 나온 게 있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방역당국은 다음달 말 하루 최대 3만명의 확진자가 나올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방역체계를 다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모든 감염원을 찾고, PCR 검사를 기반으로 진단하는 지금의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하루 확진자가 7,000명을 넘으면 대응체계를 전환합니다.<br /><br />PCR 검사는 고위험군부터 우선순위를 정하고, 민간의료기관의 진단검사 역할을 확대합니다.<br /><br />또 방역부담을 줄이기 위해 확진자 격리기간도 현행 10일에서 7일로 줄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대응체계 전환을 통해 오미크론 위기를 넘기면, 오미크론이 우세종이 된 달라진 현실에 맞춰 일상회복 계획을 재점검하겠단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서울 인사동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