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 정부 1년…여전히 멈춰선 한반도 평화 시계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사흘(17일 기준) 뒤면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출범한 지 꼭 1년이 되는데요, 재가동 기대가 모이기도 했지만, 한반도 평화 시계는 결국 꿈쩍도 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남북, 북미 간 장기 교착을 타파할 뚜렷한 모멘텀도 보이지 않아 임기 말 문재인 정부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임혜준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바이든 신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2019년 하노이 노딜 이후 틀어진 북미 관계에 변화가 생길지 관심이 집중됐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바이든표 새 대북정책을 내밀며 북한에 '언제 어디서든 만날 수 있다'고 손짓했지만,<br /><br /> "우리는 언제, 어디서든, 전제조건 없이 만나자는 우리의 제안에 북한이 긍정적으로 응답하기를 계속 바라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북한의 이렇다 할 반응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오히려 북한은 한미 훈련에 반발하며 잇단 미사일 발사로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감을 높여왔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무대로 관계 개선 물꼬를 틀 계획이었지만, 미국의 보이콧 선언에 발목이 잡혔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팬데믹 속 2년 넘게 문을 걸어 잠근 북한도 결국 불참을 선언하면서 올림픽을 계기로 한 반전 모색은 요원해졌습니다.<br /><br />미국 상황도 여의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악재, 미중 갈등으로 촉발된 공급망 혼란에 바이든 정부 1년을 바라보는 미국민의 시선은 차갑기만 합니다.<br /><br />운신의 폭이 좁아진 바이든 대통령이 대북 유화에 나서기도, 제재일로를 걷기도 쉽지 않습니다.<br /><br /> "북한을 제재하기 위해서 나선다면 중국의 기업과 은행, 개인을 제재해야 하는데 전면적인 경제분쟁으로 확장될 거예요. 그러면 미국 경제가 11월 중간선거까지 두고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거든요."<br /><br />여전히 멈춰선 한반도 평화 시계.<br /><br />뚜렷한 모멘텀, 돌파구가 전혀 보이지 않는 가운데 문 대통령의 임기 종착점이 서서히 다가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임혜준입니다. (junelim@yna.co.kr)<br /><br />#바이든 #한반도정세 #북한 #한반도평화프로세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