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번 사고를 놓고 불량 콘크리트를 쓴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며, 경찰은 콘크리트 진해물을 분석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사고 이전 콘크리트 품질 점검을 했지만, 형식적이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> <br>공국진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파란 상자를 든 수사관들이 현장으로 들어갑니다. <br> <br>경찰과 국토교통부는 현장에서 콘크리트 잔해물 등을 수거한 데 이어, 사고가 난 201동에 이어 203동에서도 콘크리트 시료를 확보했습니다. <br> <br>[경찰 관계자] <br>"레미콘의 강도가 적절했는지 그걸 이제 분석하기 위한 자료라고 보면 되죠. 각 층마다 시료를 채취한다니까요." <br><br>현대산업개발이 분기마다 제출한 감리보고서엔 레미콘 차량 25대 당 1대 꼴로 품질 점검을 한 것으로 돼 있습니다. <br> <br>공기량과 점성, 초기강도 등 3가지 검사에서 부적합 의견은 한 건도 없었습니다.<br> <br>[광주 서구청 관계자] <br>"(들어오는 모든 레미콘 차량에 대해서 점검을?) 25대마다 1대씩, 본인들이 적합하다고 판단해서 그렇게 들어왔고." <br> <br>하지만, 당시 공사에 참여했던 업체 관계자는 보여주기식 점검이었다고 털어놓았습니다. <br> <br>어떤 레미콘 차량이 점검을 받는지 미리 결정이 돼있었다는 겁니다. <br> <br>[현장 관계자] <br>"회사에서 싣고 올 때 1번 차는 정상적으로 싣고 갔으니까 검수를 하는데, 15번에 한다, 20번에 한다 그런 것이 있어요. 그러면 또 완벽히 해와요." <br> <br>전문가들은 비용이 더 들더라도 점검 횟수를 대폭 늘려야 한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최명기 /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] <br>"횟수를 더 많이 늘려야 된다. 150세제곱미터 당 한 번이다. 그러면 그걸 100에 한 번이라든지 또는 50에 한 번씩이라든지" <br> <br>한 층 올리는데 단 6일, 겨울철 무리한 속도전과 눈 가리고 아웅식 안전점검 정황 속에 총체적 부실 공사 의혹은 점점 굳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공국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건영 최혁철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공국진 기자 kh247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