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방역당국 이 생활치료센터가 매뉴얼대로 조치를 했다고 말하고 있는데요. <br><br>그러면 더 문제죠. <br> <br>다른 센터에서도 충분히 비슷한 일어날 수 있다는 거니까요. <br> <br>우현기 기자가 실태를 취재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지난해 11월부터 모든 코로나19 확진자는 재택치료가 원칙입니다. <br><br>하지만 발열이나 기저질환 등이 심한 환자는 거점생활치료센터에서, 무증상이어도 재택치료가 어려울 경우 등엔 일반생활치료센터에서 치료를 받습니다. <br><br>일반 센터에도 거점 센터만큼은 아니지만 의료인력이 상주합니다. <br> <br>숨진 채 발견된 남성은 무증상이었지만 서울 중구의 일반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했습니다. <br> <br>[유족] <br>"집에 있으면 온 가족이 못 나가는 거예요. 그 부분 때문에 아빠가 간 거죠." <br><br>일반 센터에서는 방 안에 격리된 환자가 자가진단 애플리케이션과 전화로 몸 상태를 보고해야 합니다. <br> <br>환자가 이상 증세를 신고하지 않는 이상 상주하고 있는 의료진의 대면 진료는 이뤄지지 않는 겁니다. <br> <br>병실마다 CCTV가 설치돼 상시 위급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거점 센터와는 다릅니다. <br><br>대신 지침상에는 환자가 식사하지 않거나 자가진단을 하지 않으면 의료진이 전화로 증상을 확인하고 필요시 직접 방문하도록 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숨진 남성이 자가진단과 식사를 하지 않자 센터 측도 남성에게 전화는 걸었습니다. <br> <br>이 때 남성은 전화를 받지 않았지만 센터 의료진은 직접 찾아가 상태를 확인하지는 않았습니다. <br> <br>[정기석 / 한림대 호흡기내과 교수] <br>"환자가 아침에 식사를 안 하고 아침 10시가 지나가는데도 그렇게 하면 안 되죠. 매뉴얼이라는 게 시간별로 나와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얼마나 정성스럽게 환자를 보느냐에 달린 거예요." <br><br>오늘도 전국의 일반과 거점 센터 92곳에선 1만 명 넘는 환자가 머물고 있고 센터 가동률은 49%에 이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우현기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우현기 기자 whk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