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한파가 상추와 깻잎같은 쌈채소 가격을 무섭게 올렸습니다. <br> <br>특히 쌈 채소를 많이 내놓는 식당들이 어려움을 호소합니다. <br> <br>황수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쌈밥을 주로 판매하는 서울 용산구의 한 식당. <br> <br>식당 한 켠에는 상추와 깻잎 등 다양한 쌈 채소가 진열돼 있습니다. <br> <br>쌈밥을 주문한 손님은 진열된 쌈 채소를 무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문제는 오를대로 오른 상추와 깻잎 가격입니다. <br> <br>[조경선 / 쌈밥집 운영] <br>"'야채가 10가지 이상입니다' 처음 오픈할 때부터 그랬기 때문에 야채는 전혀 줄일 수 없고. 코로나 타격 때문에 인건비 올랐지만 야채 값은 어마어마하다고 보시면 돼요." <br><br>한 달 사이 상추 가격은 최대 90% 넘게 올랐습니다. <br> <br>깻잎은 21.4% 올랐고 풋고추는 2배 더 비싸졌습니다. <br> <br>[조경선 / 쌈밥집 운영] <br>"아무리 야채값이 올라도 가게 문을 닫지 않는 이상은 계속 이거를(채소 무한리필) 유지해야되는 입장이에요. 그게 손님과의 약속이니까요." <br> <br>매년 설 대목을 앞두고 식재료 값 상승이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지만, 지난달 말부터 이어진 한파로 추위에 약한 잎채소 피해가 컸고 결국 채소 가격 급등으로 이어졌습니다. <br> <br>[○○ 상추 농가] <br>"갑자기 확 추워지니까 비닐에 있던 상추들이 얼어 죽고 하면서 급격하게 생산량 부족이 나타나기 시작했죠." <br> <br>지난해 외식메뉴 가격이 줄줄이 오른 가운데, 채소값을 비롯한 식재료 가격이 또다시 오르면서 서민들의 부담만 커지고 있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황수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박희현 <br>영상편집: 변은민 <br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