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올해는 내릴까?…2022 집값 점검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

2022-01-22 3 Dailymotion

올해는 내릴까?…2022 집값 점검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<br /><br />[오프닝: 이준흠 기자]<br /><br />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,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,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!<br /><br />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,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준흠 기자]<br /><br />대한민국 최고의 화두, 부동산을 빼놓을 수 없죠. 특히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집값은 이미 오를대로 오른 상태인데요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일부 지역에서 하락세가 나타나며 기류 변화가 감지되고 있는데, 과연 대세 하락 신호일까요?<br /><br />최지숙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수도권 집값 이상 기류…집값 하락 국면 진입? / 최지숙 기자]<br /><br />직장인 31살 김범영씨는 주말이면 살 집을 찾아 부지런히 이른바 '임장'에 나섭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최대한 아껴 적금을 붓고 대출까지 끼어도 현실은 녹록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숨만 쉬고 월급을 모아도 서울에 집을 사는 데 38년이 걸린다는 분석대로, 치솟은 집값 앞에선 무력하기만 합니다.<br /><br /> "아무래도 집값도 많이 뛰었고 금리도 금리고 대출도 많이 막혔거든요. 그러다보니 청년들이 월급 모아 집 사기가 힘든 것 같아요."<br /><br />현 정부 들어 두 배 이상 뛴 서울 집값은 수도권에 이어 전국으로 번졌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석 달 전부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. 지방발 하락세가 수도권 외곽을 거쳐 서울로 이어진 겁니다.<br /><br />장기 급등 피로감과 규제 여파에 서울에선 공황 매수가 몰렸던 외곽 중저가 단지부터 가격이 꺾였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에는 금천·노원·성북·은평 등 서울 4개 구에서 아파트값이 내렸고 경기도에선 5개 시·구가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매매수급지수와 실거래가지수도 꺾이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세 부담 축소와 규제 완화를 내건 대선 주자들의 공약까지 나오자 거래 자체가 실종됐습니다.<br /><br /> "(파는 사람도) 양도세를 완화해준다는 기대감에 망설이고, 사는 사람도 세법을 낮추고 취득세를 조정한다고 하니 서둘러 살 필요 없지 않나… 지난해 10월 이후 거래를 못 해봤어요."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한국은행은 지난주 기준금리 인상에 이어 추가 인상을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 "여러 가지 기준으로 비춰보면 기준금리가 1.5%가 된다 하더라도 이것을 긴축으로 볼 수는 없겠다…"<br /><br />기준금리가 또 오르면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금리 등이 연쇄적으로 뛰어 돈 빌리기는 더 어려워질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전문가들은 아직 집값의 대세 하락을 장담하긴 이르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작년 오피스텔 광풍에서 보듯 잠재적 주택 수요는 여전한데 공급은 올해 더 줄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최근 가격이 내린 사례를 보면 (기존 매물의) 처분이 다급해 급매 처리한 경우가 많고 고가 아파트는 여전히 버티기를 하는 수요자가 많아서…본격 하락을 점치기에는 이른 감이 있습니다."<br /><br />잇따르는 인기 지역의 신고가 행진에 양극화 심화 우려도 큽니다.<br /><br /> "지역에 따라 시세보다 싼 매물이 나올 수 있는데, 통계상 발표되는 수치와 소비자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 지수 간 괴리가 심한 한 해가 되지 않을까…"<br /><br />집값이란 함수는 이렇게 복잡하지만 시민들의 바람은 한결같습니다.<br /><br /> "올해는 열심히 사는 사람들이 내 집 마련에 희망을 가질 수 있는 한 해가 됐으면 좋겠습니다."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.<br /><br />[코너:이준흠 기자]<br /><br />돈되는 대로 영혼까지 끌어모으고, 무조건 가격이 오르니 일단 청약은 신청하고 보라는 이런 신조어가 유행이었습니다.<br /><br />조금 더 시간이 지나면서는 서울에 집사는 걸 포기했다, 아예 내 집 마련 자체를 포기했다, 이런 단어가 나오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내가 못사도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데요. 어떻게든 집을 장만했으면 다행인데, 자금이 부족했거나 시기를 놓쳐, 다른 사람의 집값이 오르는걸 지켜보기만 해야 하는 마음도 굉장히 쓰립니다.<br /><br />앞으로는 또 어떤 부동산 신조어가 등장할까요? 뭐가 됐든 좋은 내용은 아닐 것 같은데요.<br /><br />지난해 1월만 해도 부동산을 바라보는 소비자들의 반응은 뜨거웠습니다. 경남과 제주를 제외하면 전국 시도가 모두 주황색으로 표시돼 있습니다. 앞으로 집값이 더 오르고, 거래도 늘어날 거라고 시장이 판단한 것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1년만에 분위기가 완전히 바뀌었습니다. 대부분이 파랗게 변했죠. 매수심리가 꺾이며, 시장을 관망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났다는 뜻입니다. 특히, 대구와 세종은 이렇게 회색으로 채워졌습니다. 앞으로 집값이 떨어질 거란 전망이 큰 건데요.<br /><br />[이준흠 기자]<br /><br />실제 현장 분위기는 어떨까요? 대구에선 대규모 아파트 미분양이 발생하고, 전국 최고 폭등지역이던 세종시도 큰 하락폭을 보이고 있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정지훈 기자가 지역 부동산 상황을 현장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대구 미분양·세종 급락…늘어나는 하락 지역 / 정지훈 기자]<br /><br />대구 동구의 한 아파트 건설 현장입니다.<br /><br />대단위 단지 공사가 한창이지만 초기 대규모 미분양 사태로 지금도 분양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대구 미분양 주택 물량 60% 이상이 이곳 동구에 집중돼 있습니다.<br /><br />2021년 11월 기준,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1만2,622호.<br /><br />그런데 대구가 비수도권 전체의 35%를 차지합니다.<br /><br />미분양 여파는 지역 주택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0월 대구지역 집값은 1년 8개월 만에 하락세로 돌아섰고, 거래 절벽이 심화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대구 지역에 미분양이 많이 발생돼 있고, 또 최근 기존 아파트 거래도 많이 안되고 있습니다. 거래절벽으로 인해 가격이 하락되는 부분이 있고…"<br /><br />2020년 전국에서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뛴 세종시는 지난해엔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실제 이뤄진 거래만 반영해 최근 시장 상황을 나타내는 실거래 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대구가 1.35% 내린 것을 비롯해, 5대 광역시 중 1.2% 오른 광주를 빼곤 모두 하락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지수 역시 세종시가 전국 시도중 낙..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