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 한미연합사령관 "과거 북한 선제공격 대비 작업 진행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2018년 이후 중단한 핵실험과 대륙간 탄도미사일, ICBM 실험 재개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미국이 과거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에 필요한 작업을 했었다는 발언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북핵 위기가 고조됐던 2013년과 2016년 사이 때의 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한상용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13년부터 3년간 한미연합사령관으로 근무했던 커티스 스캐퍼로티.<br /><br />한미연구소 주최로 열린 대담에서 과거 북한을 겨냥해 선제공격에 대비한 적이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우리는 한국에서 함께, 미국에서 별도로 선제공격에 필요한 정보와 (군사적) 능력 측면에서 작업을 진행했었다. 나는 (선제공격 대비작업을) 멈추거나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."<br /><br />사전공격 대비 시기를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이 발언은 자신이 한미연합사령관 재임 기간 이뤄졌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다만, 그는 사전공격 대비가 "반드시 수행한다는 위급성 차원에서 진전시킨 것은 아니"라면서도 북한의 무기개발 속도에는 우려를 표시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예를 들어 SLBM(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) 테스트와 같은 것들을 보게 된다면 전문가들 예상보다 그들(북한)이 훨씬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."<br /><br />그러면서 최대한의 군사적 역량을 발휘해 가장 진전된 다중 방어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전직 한미연합사령관의 이런 언급은 한국과 미국이 북한을 실제 선제공격하려 했던 것은 아니라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한 동아시아 전문가는 "한미가 정확히 어느 지점을 어떻게 타격해야 하는지를 포함해 선제공격에 어느 정도의 정보량을 필요로 하는지 연구했다는 의미"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이 전문가는 현 상황에선 선제공격이 위험할 수 있다며 그 이유로 중국의 전면전 개입 가능성, 대선 후보를 포함해 한국 내부의 의견 불일치, 바이든 미 행정부 기조와 맞지 않는 점을 꼽았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상용입니다.<br /><br />#북한 #선제타격 #한미연합사령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