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강희경 앵커 <br />■ 출연 : 류재복 해설위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휴일인데도 불구하고 확진 환자가 7000명을 훌쩍 넘겼습니다. <br /> <br />우세종으로 자리 잡은 오미크론의 영향 때문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높은 전파력과 상대적으로 낮은 위험도에 맞춰 방역 대책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류재복 해설위원과 함께 더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어서 오세요. <br /> <br />먼저 지난주 확진 환자 가운데 오미크론 변이 감염률이 47%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주면 우세종이 될 것으로 보고 계시나요? <br /> <br />[류재복] <br />지난해 12월 1일에 우리나라에서 첫 번째 오미크론 확진자가 나왔고요. <br /> <br />그리고 나서 12월 4주차까지는 2% 정도에 머물렀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그후로 주마다 2배 이상씩 늘어났죠. <br /> <br />그래서 1.8%에서 다음 주에 4%, 13%, 27%, 지난주 주 후반에 47%. 그러니까 매주 월요일 오후에 주간 오미크론 점유율을 발표하는데요. <br /> <br />아마 내일 발표 때는 50%를 넘어서 우세종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러면 오미크론이 우세종으로 자리 잡았을 때 상황이 어떻게 될 걸로 보시나요? <br /> <br />[류재복] <br />지금 오미크론의 전파력이 굉장히 큰 것으로 알려져 있죠. 그래서 기초감염재생산지수라는 게 있는데요. <br /> <br />감염재생산지수라는 게 1명이 몇 명에게 코로나19를 전파할 것이냐, 이것인데. 지금 오미크론의 기초감염재생산지수가 5에서 9 정도로 봅니다. <br /> <br />한 사람이 5명에서 9명을 감염시킬 수 있다, 이 정도인데요. <br /> <br />이것이 아마 델타 유행의 초기 정도. 그러니까 델타가 처음 나왔을 때 다른 그전에 있었던 몇 가지 변이보다도 훨씬 더 전파력이 빠르지 않았습니까? <br /> <br />그때 5 정도가 나왔는데 그것보다도 크게는 2배까지도 빠르다, 이렇게 볼 수 있고요. 그러니까 확진 환자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오늘은 휴일 효과라고 해서 확진 환자가 한 30%가량 줄거든요, 평일에 비해서. 그런데도 불구하고 7600명이라는 것은 다음 주에는 1만 명 가까이 갈 수 있고 이것이 설 연휴 정도가 끝나면 오미크론의 점유율이 한 90%까지 가게 되면 지금 예상으로는 2만 명에서 10만 명, 하루 확진 환자가 그렇습니다. <br /> <br />2만 명에서 1... (중략)<br /><br />YTN 류재복 (jaebogy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12314564631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