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랑이 경매 연 이유는?…미술시장 호황의 그림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술시장이 호황인 가운데, 화랑과 경매사들이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화랑은 경매사들의 무분별한 운영으로 시장 질서가 무너졌다고 주장하며 직접 경매를 열었습니다.<br /><br />박효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민화가 박수근이 작고 1년전에 그린 작품입니다.<br /><br />작가의 몇 안되는 추상화로 화랑협회가 주최한 경매에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이밖에 이우환, 김창열 등 화랑협회 소속 갤러리들이 내놓은 주요 거장들의 작품 120여점이 대상입니다.<br /><br />신진 작가를 발굴하고 미술품을 전시하는 화랑이 경매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.<br /><br />서울옥션과 케이옥션 등 주요 미술품 경매사들의 무분별한 운영으로 시장이 왜곡되고 있다며 항의 성격으로 개최한 것입니다.<br /><br />화랑협회는 경매사들이 연 80회 이상 지나치게 많은 경매를 열었고, 작가들에게 접촉해 직거래를 유도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.<br /><br /> "한국 젊은 작가를 세계에 내놔야 하는데 그런 과정없이 경매에서 팔리다 보니까 인기있는 작가는 작품성보다 작품가에 신경을 쓸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됐습니다."<br /><br />경매사들은 이에 대해 특별한 입장은 없는 상황.<br /><br />다만, 서울옥션 관계자는 "미술 시장의 성장이 중요하다면서도, 상생을 위해서라면 경매 횟수는 논의해볼 수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과거 2007년 미술 호황기 때도 화랑과 경매사가 대립했듯, 이번 논란 역시 미술계가 맞은 호황이 배경이 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국내 미술시장 규모는 9,157억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고, 화랑과 경매사 모두 매출이 2020년 대비 3배 가량 뛰었습니다.<br /><br />미술품을 사려는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, 작가와 작품 모시기가 경쟁적으로 나타나는 상황.<br /><br />일각에선 '밥그릇 싸움'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, 미술 시장의 두 축이 상생의 길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효정입니다. (bak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