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연준 "곧 금리 올리는 것 적절"…3월 인상 예고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중앙은행이 조만간 금리를 올리는 것이 적절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3월 인상에 한층 무게가 실리는데요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. 이경희 특파원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지금은 기준금리를 동결하지만 곧 올리는 것이 적절하다는 뜻을 공개적으로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3월 금리 인상 가능성에 한층 무게가 실리는데요.<br /><br />연준 통화정책회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이틀 일정의 회의를 마치고 공개한 성명에 "인플레이션이 연준의 목표인 2%를 넘겼고 일자리 증가는 견조하다"며 "조만간 기준금리 목표범위를 높이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"고 적었습니다.<br /><br />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와 관련해 "연준의 다음 회의에서 첫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"면서도 3월까지는 아직 시간이 있고 그간의 경제 상황에 따라 바뀔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진행 중인 테이퍼링, 자산매입 축소는 기존 방침을 유지하기로 해 예고한 대로 3월까지 마무리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보유 채권을 매각하는 양적긴축을 시작하는 시기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별도의 성명을 통해 자산 매각은 금리인상이 시작된 뒤 뒤따를 것이고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에는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는 우크라이나 관련 소식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가 요구한 안전보장안에 대한 미국의 답변이 전달됐다고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. 러시아는 옛 소련국가들의 나토 가입을 배제하고, 러시아 인근 국가들에 나토의 공격무기를 배치하지 않는다는 보장을 요구하는 문건을 미국에 전달하고 답변을 요구해왔는데요.<br /><br />미 국무부가 러시아 주재 미국 대사관을 통해 답변이 담긴 문건을 전달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내용은 외교적 해결을 위한 협상을 유도하는 데 방점이 찍혔습니다.<br /><br />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은 문서에 러시아가 제기한 우려에 관한 원칙적이고 실용적인 평가가 담겼다면서 미국과 동맹의 우려가 포함됐고, 우크라이나 내 군사 배치와 관련 상호 조치 등 합의 가능한 분야에 대한 제안도 담겼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러시아가 선택할 수 있는 진지한 외교적 방법도 제시하고 있다면서 문서 작성 과정에 조 바이든 대통령이 깊이 관여했다고도 전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주요 요구사항에 대해선 어떤 양보도 하지 않았고 나토의 개방정책에도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해 러시아의 핵심 요구는 수용하지 않았음을 시사했습니다.<br /><br />블링컨 장관은 이제 공은 러시아로 넘어갔다며 어떤 선택을 하든 미국은 준비돼 있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 "이제 문건은 러시아에 있고 공은 그들의 코트로 넘어갔습니다. 여러 차례 말했듯, 그들이 외교와 대화의 길을 택하든 우크라이나에 대한 침략을 재개하기로 결정하든 우리가 무엇을 하는지 보게 될 것입니다. 우리는 어느 쪽이든 준비가 돼 있습니다."<br /><br />러시아는 미국의 답변을 보고 향후 입장을 정할 것이라며 건설적 답변이 없으면 대응하겠다고 엄포를 놓아왔는데요.<br /><br />미국의 답변을 받았다는 사실은 공개했지만 이에 대한 입장은 밝히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러시아의 핵심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어떤 입장을 밝힐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#금리인상 #테이퍼링 #우크라이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