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 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<br>최대 명절 설 연휴가 내일부터인데, 설렘보다는 걱정이 앞섭니다. <br><br>사흘 연속 하루 만 명대 확진자가 쏟아지고 있죠. <br> <br>정부는요. 이달 말까지 재택치료 6만 명에 대비해 준비하겠다고 했는데, 벌써 5만 명을 넘어섰습니다. <br> <br>발등에 불이 떨어지자, 오늘 추가 대책을 내놨는데, 주요 대책이, 전화로 상태를 물어보는 문진 횟수를 줄이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예측도 실패했고, 준비도 늦었는데, 대책마저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> <br>황규락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코로나 재택치료 환자들에게 쉴 새 없이 전화하는 간호사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열은 많이 떨어지긴 하셨던데, 지금은 좀 어떠신 것 같아요?" <br> <br>350명이었던 재택치료자가 일주일 만에 840명으로 늘면서 물리치료실로 사용하던 곳을 어제 급하게 개조했습니다. <br> <br>하루 천 명의 재택치료자를 관리할 수 있는데 당장 내일이면 한계에 다다를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[이수정 /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수간호사] <br>"(매일) 50, 60명 정도 입소하다가 3, 4일 전부터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어서 지금은 250명이거든요. 재택치료 위해서 들어오는 환자 수가…" <br><br>오늘 0시 기준 재택치료자는 5만 627명. 지난주에 비해 두 배 넘게 급증하자, 방역 당국은 저위험군의 전화 문진 횟수를 두 번에서 한 번으로 줄이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신규 환자를 한 명이라도 더 보기 위해 기존 환자 관리 부담을 줄이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[권덕철 /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] <br>"1월 말까지는 1일 신규 확진자 수 2만 명까지 그리고 재택치료자는 총 11만 명까지 관리할 수 있도록 현재 확충 중에 있습니다." <br> <br>그러나 현장에서는 사실상 달라지는 게 없습니다. <br> <br>[이수정 /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수간호사] <br>"두 번 모니터링이라는게 한 번은 전화로 하고 한 번은 환자가 어플 사용을 한 것을 한 번으로 쳐주셨었거든요. 사실 전화하는 것은 똑같습니다. 횟수가 줄지는 않고…" <br> <br>다음 달 3일부터는 동네 의원에서 코로나 환자의 진찰과 검사, 처방은 물론 재택치료까지 가능해집니다. <br> <br>하지만, 일반 환자와의 동선이 겹치고, 감염위험시설로 낙인찍힐 우려 때문에 얼마나 많은 의원이 참여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황규락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임채언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br /><br /><br />황규락 기자 rocku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