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를 계기로 mRNA 백신이 주목받으면서, RNA를 이용한 치료제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RNA 치료제는 병의 원인 유전자를 원천적으로 억제하는 방식인데, 국내 바이오 기업들도 RNA 기반 신약개발에 나서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이성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mRNA 방식의 백신! <br /> <br />mRNA 백신은 다른 방식의 백신보다 예방 효과가 뛰어나, 차세대 백신으로 자리매김하는 모양새입니다. <br /> <br />mRNA 백신의 성공적 상용화로 RNA 기술이 백신뿐 아니라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에도 관심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손대기 어려웠던 난치병 치료에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라는 기대입니다. <br /> <br />RNA 치료제는 인공적으로 만든 RNA 조각을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에 붙여, 질병 유전자의 기능을 원천적으로 억제하는 방식으로 작용합니다. <br /> <br />[오일환 / 가톨릭대 의대 교수 : (기존의) 항체 치료제는 특정 항원을 내는 세포에만 결합해서 죽이는 기능이 주된 것인데 세포의 기능 자체를 바꾸지는 못합니다. RNA 치료제는 세포 안으로 직접 들어가서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세포의 기능을 바꿀 수 있기에 응용 범위가 더 넓다고 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이런 방식의 RNA 치료제가 지난 2018년 미국에서 최초로 승인됐는데, 국내에서도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바이오 기업은 RNA 기반의 섬유화증 신약 후보 물질을 개발하고 임상 1상 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준영 / RNA 치료제 개발업체 CSO : 바이오니아는 특발성 폐섬유증, 만성 신장 질환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엠피레귤린을 표적으로 한 신약 후보 물질을 개발했습니다. (자회사인) 써나젠테라퓨틱스는 이 후보 물질 대상으로 다양한 섬유화증 동물 모델 실험과 영장류 등 비임상 독성시험을 진행해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했습니다.] <br /> <br />또 다른 국내 바이오 기업은 RNA 기반의 비대 흉터 신약 후보 물질을 대상으로 미국과 한국에서 임상 2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RNA를 이용한 백신과 치료제는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가 된 지 얼마 안 될 만큼 초기 단계여서, 국내 기업도 글로벌 경쟁에서 승산이 있다는 평가입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성규 (sklee9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012822481610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