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상 첫 국보 경매로 나온 간송 전형필 선생 후손의 국보 2점은 갈 곳을 찾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2년 전 경매로 나왔던 보물과 같이 국립중앙박물관이 사들일 가능성이 점쳐집니다. <br /> <br />국립박물관 측은 현재 매입 계획이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 /> <br />김태현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처음으로 경매에 나온 국보 2점은 비상한 주목을 받았지만 응찰자는 결국 나오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곽종우 / 케이옥션 경매사 : 새해 첫 경매의 마지막을 장식할 또 다른 국보입니다. 32억 원, 32억, 32억 원. (땅!) 이상으로 케이옥션 새해 첫 경매를 모두 마치겠습니다.] <br /> <br />(11∼12세기) 고려시대의 심미감이 엿보이는 '금동삼존불감'과 563년 제작연도가 새겨져 유물적 가치가 높은 '금동삼존불입상'. <br /> <br />간송미술관이 관리해오던 이 국보 2점 모두 경매 시작가에 아무런 반응이 없어 유찰됐습니다. <br /> <br />한 해 유물 구입비가 40억 원이 안 되는 국립중앙박물관은 경매에 불참했고, 개인 소장자들도 국보 경매에 대한 비판 여론을 의식해 나서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국보 2점의 행방과 관련해 우선 국립박물관의 행보에 시선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국립중앙박물관은 2년 전 간송의 후손이 내놓은 보물 2점의 경매가 유찰되자 얼마 후 직거래를 통해 사들였습니다. <br /> <br />직거래는 가격을 낮추고 낙찰가의 15%인 경매 수수료 부담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선례와 여건을 종합하면 국가 차원의 매입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임영애/ 동국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 : 이 유물을 국가가, 국가기관에서 매입해서 국민들이 모두 함께 향유할 수 있고 연구자들은 연구 접근성이 용이할 수 있게 그렇게 됐으면 하는 바람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국립중앙박물관은 현재로서는 이 국보 매입 계획이 전혀 없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학계 일부에서는 후손들이 일반인의 관람과 학술적 연구를 위한 노력을 경시하고 있다고 비판합니다. <br /> <br />간송미술관의 운영난 속에 처음으로 내놓은 국보 2점이 어떤 주인을 만날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태현 (kimt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2012900263496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