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제 뒤로 보이는 라면, 모두 중국에서 파는 건데 낯 익죠.<br><br>이렇게 우리 라면 브랜드 하나를 베낀 제품만 서른 개가 넘습니다.<br> <br>속칭 짝퉁, 하면 옷이나 가방 정도 생각했는데 종류 규모 모두 혀를 내두를 정돕니다.<br> <br>이러고도 올림픽 치르는 강국이라 하겠는가 중국 당국이 ‘전쟁’에 나섰습니다.<br> <br>베이징 사공성근 특파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베이징 시내에 있는 쇼핑몰. <br> <br> 이른바 '짝퉁'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곳입니다. <br><br>정품 기준으로 백만 원이 넘는 점퍼의 모조품은 10분의 1도 안 되는 가격에 팔리고 <br> <br>[짝퉁 판매상] <br>"(얼마에요?) <br>전부 500위안(우리돈 9만 5천원) 입니다." <br> <br> 없어서 못 판다는 명품 가방도 버젓이 짝퉁으로 팔립니다. <br> <br>[짝퉁 판매상] <br>"얼마에 해드릴까요? 먼저 말해보세요!" <br> <br> 하지만 쇼핑몰 공간의 절반 이상은 비었습니다. <br><br> 강력한 방역 대책으로 손님의 발길은 뜸해졌고 당국의 단속도 꾸준히 이어져 매장수가 크게 줄었습니다.<br> <br>[짝퉁 판매상] <br>"코로나 때문에 장사는 안 되는데, 가게 임대료는 너무 높아졌어요." <br> <br> 그 대신 짝퉁 판매상들은 온라인으로 파고 들었습니다. <br> <br> 넷플릭스 예능 프로그램에 짝퉁을 입고 출연해 논란이 됐던 한국인 유튜버의 의상까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타오바오에서 그대로 팔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 한류를 타고 중국인 입맛을 사로잡고 있는 우리 먹거리도 집요하게 베끼고 있습니다. <br><br>"중국 온라인에서 구매한 불닭 라면입니다. <br> <br>검은색 포장에 닭이 그려져 있지만, 하나같이 국산 라면을 베낀 짝퉁입니다 <br> <br>제가 하나 끓여 먹어봤는데요.<br><br>맵기만 할뿐 특유의 감칠맛이 느껴지지 않았습니다.<br> <br> 라면 제품 한 개의 유사품만 30종 넘게 유통되고 있습니다. <br><br> 우리 업체가 만들어 수출한 정품 라면보다 싼 가격에 팔립니다. <br><br> 지식재산권 보호와 관련한 중국의 후진적인 인식에 국제적인 비난이 쏟아지자 중국 당국도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 명품 옷과 시계, 심지어 고급 주류까지 짝퉁을 만들고 파는 일당을 붙잡아 법정에 세우고 있습니다. <br> <br> 그러나 재료 단가와 인건비가 낮아 모조품 제조로 쉽게 돈을 벌 수 있는 중국은 짝퉁 대국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베이징에서 채널A 뉴스 사공성근입니다. <br> <br>사공성근 베이징 특파원<br><br>영상취재 : 위진량(VJ) <br>영상편집 : 이승근<br /><br /><br />사공성근 기자 402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