감염병 대유행 상황이 길어지며 코로나19로 생겨난 우울감을 뜻하는 '코로나 블루'도 사회 현상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로 여러 활동이 제약을 받으면서 마음에 분노와 불안, 우울감이 쌓이는 건데요, 전문가들은 이럴수록 가능한 범위에서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. <br /> <br />홍주예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코로나19가 평범한 일상을 앗아간 지 어느덧 만 2년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팬데믹의 끝이 안 보이고 사회적 거리 두기가 이어지면서 우리의 정신 건강도 크게 위협받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실시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성인 5명 가운데 1명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한 우울 위험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2주간 자살을 생각해 본 적이 있다는 비율도 응답자의 13.6%에 달했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유행으로 사람을 만나는 것도, 외출하는 것도 힘들어지다 보니 고립감이 커지면서 우울감이 생겨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[이정한 / 연세대 의대 정신과학교실 교수 : 변화된 사회 속에서 사회적인 교류 자체가 적은 게 아마 정서적인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어려움을 주고 있지 않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코로나19 이전의 삶으로 돌아갈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번번이 좌절되며 절망감에 더 깊이 빠져들 수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들은 이럴수록, 현재 가능한 범위에서 일상을 이어가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합니다. <br /> <br />정해진 시간에 밥을 먹고 잠을 자는 것, 걷기와 스트레칭 등 간단한 운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. <br /> <br />[한창수 / 고려대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: 지금 있는 상태를 그냥 받아들이고 이 상태에서 할 수 있는 자기의 일, 자기의 인간관계, 자기의 마음 다스리기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서 계속하라는 말을 드리고 싶습니다.] <br /> <br />그래도 생활에 불편이 있을 정도로 고통이 크다면, 주저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코로나19 장기화로 자칫 사회 전체가 외상후스트레스장애를 앓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직과 사회의 회복력을 보듬을 수 있는 '심리 방역'이 필요한 이유입니다. <br /> <br />YTN 홍주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홍주예 (hongkiza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013005540026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