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,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포 2년…"WHO 한계 노출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(30일)은 세계보건기구, WHO가 코로나19에 대해 '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'를 선언한 지 꼭 2년이 됩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코로나19 사태는 확산세가 잡힐 듯 하면 새 변이 출현으로 다시 번지는 양상이 반복됐습니다.<br /><br />이 과정에서 WHO가 국제 보건기구로서 제 역할을 했는지 비판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2019년 12월 말 중국 우한에서 정체 불명의 폐렴이 발생했다고 세계보건기구, WHO에 보고되면서 세상에 처음 알려진 코로나19.<br /><br />한 달 후인 2020년 1월 30일 WHO는 코로나19에 최고 수준의 경보인 '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'를 선언합니다.<br /><br /> "특히 보건 체계가 약한 국가를 보호하고 대비하기 위한 겁니다. 우리는 이들 국가에 가능한 모든 것을 지원하려고 합니다."<br /><br />지난 2년간 코로나19는 초유의 대유행병으로 번지며 전 세계에서 수많은 사람의 일상과 목숨을 빼앗았고, WHO의 늑장 대응도 일정 부분 책임이 있다는 비판이 계속해서 나옵니다.<br /><br />아직 코로나바이러스 기원이 밝혀지지 않은 것도 WHO가 코로나 대응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걸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입니다.<br /><br />첫 확진자 발생지 중국은 지난해 초 WHO 조사단 입국을 뒤늦게 허용했지만, 논란은 더 커졌습니다.<br /><br />WHO 조사단은 바이러스가 우한 바이러스연구소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이 극히 낮다고 결론 내리면서도 증거를 제시하지 못한데다 조사단 핵심 인원이 우한 연구소와 밀접한 관계라는 사실마저 드러나 WHO는 신뢰도에 손상을 입었습니다.<br /><br />WHO는 '공중보건 비상사태' 선언 때도 미적거려 거센 비판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늑장 대응뿐 아니라 국제 공조를 끌어낼 역량과 리더십 부족도 문제로 지적됩니다.<br /><br />불평등한 백신 분배 문제가 대두됐을 때 WHO는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중재하기보다 뒤늦게 선진국의 사재기를 비판하는 데 그쳤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WHO가 코로나 대응에 한계를 보여줬다며 새로운 보건기구를 창설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올해 G20 의장국을 맡은 인도네시아의 조코 위도도 대통령은 국제통화기금 IMF 같은 형태의 새 보건기구를 통해 의약품 생산 투자 등에서 개발도상국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#공중보건비상사태 #세계보건기구 #코로나19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