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반복되는 후진국형 사고들…'안전불감증' 아직 만연

2022-01-30 0 Dailymotion

반복되는 후진국형 사고들…'안전불감증' 아직 만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부터 광주 화정 신축공사장 붕괴사고까지, 모두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된 전형적인 후진국형 사고라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5년간 안전불감증이 불러온 참사들의 기록을 이동훈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17년 충북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, 29명이 숨지고 40명이 다쳤습니다.<br /><br />스프링클러 설비는 물론 알람 밸브가 잠겨있었고 비상구는 물품 보관대에 막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나 안전불감증이 부른 인재라는 지적이 잇따랐습니다.<br /><br />45명이 숨지고 147명이 다친 2018년 경남 밀양 세종병원 화재도 안전불감증의 전형적인 사례입니다.<br /><br />의무적으로 설치해야하는 스프링클러가 아예 없는 상황에서, 불법 증축을 하면서 출입문들을 막아놔 탈출로가 확보되지 않았던 겁니다.<br /><br />2020년대에 들어와서도 안전불감증이 불러온 참사는 이어집니다.<br /><br />2020년 경기 이천 물류센터 신축공사장 화재는 우레탄폼 작업 중 발생한 유증기가 용접작업 중 발생한 불꽃과 만나 폭발하면서 불이 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발화 가능성이 높은 작업의 동시 진행을 허용한 것으로 38명이 숨지고 10명이 다쳤습니다.<br /><br />소방관 1명의 목숨을 앗아간 쿠팡 이천 덕평물류센터 화재도 방재실 관계자들이 화재 경보를 오작동으로 보고 6차례나 꺼 초기 진화를 지연시켜 피해를 키웠습니다.<br /><br />공사현장에서도 안전불감증은 만연합니다.<br /><br />작년 광주 학동4구역 철거현장 붕괴사고는 무리한 사업추진, 공기단축 등에서 비롯된 사고였고 이번 화정동 신축 공사현장 붕괴사고도 마찬가지라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안전불감증과 후진적인 안전관리는 반드시 없어져야 할 그런 적폐일 것입니다."<br /><br />잊을 만하면 발생하는 후진국형 사고들, 그 뒤엔 켜켜이 쌓인 안전불감증이 있다는 점을 환기해야될 때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. (yigiza@yna.co.kr)<br /><br />#제천스포츠센터참사 #밀양세종병원참사 #이천물류센터참사 #쿠팡물류센터화재 #광주학동참사 #광주신축아파트붕괴 #안전불감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