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4년 전, 북한은 대륙간 탄도미사일, 그리고 핵실험 봉인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이제 그 약속은 깨지기 일보직전까지 와있습니다.<br> <br>상황이 다시 2017년으로 돌아가고 있단 분석이 나옵니다.<br> <br>김윤수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4년 전 북한은 핵실험과 함께 ICBM 발사 중단을 선언했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 (2018년 4월)] <br>"4월 21일부터 핵 시험과 대륙간탄도로케트 시험 발사를 중지할 것이다." <br> <br> 핵 개발의 상징과도 같은 풍계리 핵실험장도 폭파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쓰리 투 원" <br><br>선제적인 모라토리엄 조치로 국제사회로부터 안전보장과 제재 해제 등 보상을 받아내겠단 의도였습니다.<br><br>실제 2018년 남북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북미 정상회담이 연쇄적으로 이뤄지면서 화해 무드가 조성됐습니다.<br> <br> 하지만 미국과 협상 교착이 길어지자 북한은 미국에 불만을 드러냈고 올해 들어 줄줄이 도발을 감행했습니다. <br> <br> 미사일 개발 등에 관여한 북한 국적 6명 등에 대한 미국의 전격 제재에 북한은 모라토리엄 철회 카드를 입에 담았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 (지난 20일)] <br>"신뢰 구축 조치들을 전면 재고하고 잠정 중지하였던 모든 활동들을 재가동하는 문제를 신속히 검토해볼데 대한 지시를 해당 부문에 포치(공지)했습니다." <br><br> 6차 핵실험과 ICBM 급인 화성-15형 미사일 발사로 잇달아 도발해 국제사회를 긴장시켰던 2017년으로 시계를 되돌릴 수 있다는 겁니다.<br> <br>[신범철/ 경제사회연구원 외교안보센터장] <br>"안보리가 미중 전략경쟁으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한국 정권교체기에 따른 대응력이 약화됐다는 점을 고려해서 전략적인 셈범에 따라서 핵능력을 강화하고 있다." <br> <br> 다만 동계 올림픽을 개최하는 중국 입장을 고려해 당장 핵과 미사일 발사 시험 대신 열병식을 통해 ICBM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, SLBM 등 새로운 전략 무기를 선보이며 미국을 압박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수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이태희<br /><br /><br />김윤수 기자 ys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