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버스 정류장 옆에 늘 보이던 구둣방, 가판대가 요즘 점점 안보입니다. <br> <br>10년 사이 무려 천 곳 넘게 닫았다는데요. <br> <br>코로나 이후 폐업은 더 가속화됩니다.<br> <br>김예지 기자가 돌아봤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40년 넘게 구둣방을 운영해온 유준철 씨. <br> <br>영하 10도의 추운 날씨에 꽁꽁 언 손을 녹일 수 있는 건 작은 난로 뿐입니다. <br> <br>오후 2시가 지났지만, 손님은 단 두 명 뿐. <br> <br>연간 120만 원인 가겟세 내기도 버겁습니다. <br> <br>[유준철 / 구둣방 운영] <br>"너무 힘들어 가지고. 1년에 한 번씩 세금을 내는데. 그거를 사실 내기가 힘들어요." <br> <br>점심은 집에서 비닐랩에 싸온 밥 한 덩이로 떼웁니다. <br> <br>[유준철 / 구둣방 운영] <br>"밥 사먹을 형편이 못 돼." <br> <br>경기 불황에, 코로나까지 겹치면서 빈손 귀가는 일상이 됐습니다. <br> <br>[유준철 / 구둣방 운영] <br>"다만 얼마라도 벌면 괜찮은데 공치는 날이 있으면 허망하죠." <br><br>인도위에 덩그러니 서 있는 가판대 상황은 비슷합니다. <br> <br>[가판대 운영자] <br>"오늘은 한 개 팔았어요. 이렇게 안 되면 문을 닫아야죠 뭐. 손해를 보니까." <br> <br>손님들이 오다가다 사던 껌도 이제는 잘 안 팔립니다. <br> <br>[가판대 운영자] <br>"하루에 기껏해야 돈 만 원 들어오면 잘 들어오는 거고. 마스크 하고 있으니까 껌도 안 사잖아." <br><br>큰 요인 중 하나는 편의점입니다. <br> <br>가판대 주변 편의점에 손님이 몰리는 데다 코로나19로 유동인구까지 줄면서 가판대는 결국 문을 닫았습니다. <br><br>[최시영 / 서울 중구] <br>"가판대에서 물건 산 지는 한 5~6년 된 거 같아요. 위생적으로 봤을 때도 좀 불안하기도 하고." <br> <br>한편으로는 추억 속으로 사라지는 가판대가 아쉽기도 합니다. <br> <br>[조화순 / 서울 도봉구] <br>"예전에 버스토큰을 샀잖아요. 많이. 지금은 그게 없잖아요. 카드로 하니까." <br> <br>[우 진 / 서울 마포구] <br>"예전에 플리마켓(벼룩시장)처럼 아기자기하고 따뜻한 분위기는 찾아보기 힘들겠죠." <br><br>서울 시내 구둣방과 가판대는 10년 전보다 1000곳 가까이 줄었습니다.<br> <br>서울시는 다음달부터 운영을 포기해 방치된 시설물을 철거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예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박희현 <br>영상편집 : 형새봄<br /><br /><br />김예지 기자 yeji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