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틀 앞으로 다가온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국제 외교 판도를 읽을 수 있는 자리가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등 주요 서방 국가들은 외교적 보이콧을 선언했지만, 중국 우방이나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일부 나라들은 입장이 다릅니다. <br /> <br />조수현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백악관은 지난해 12월, 중국 정부의 인권 탄압을 문제 삼아 베이징 올림픽에 대한 '외교적 보이콧'을 공식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과 일본, 캐나다, 호주, 뉴질랜드 등 미국의 동맹들도 줄줄이 동참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젠 사키 / 미국 백악관 대변인 : 바이든 행정부는 "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에 외교관이나 공식 대표단을 파견하지 않을 예정입니다. 중국의 지속적인 집단 학살과 신장 자치구의 반인도적 범죄와 기타 인권 탄압을 고려한 것입니다.] <br /> <br />반면 미국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러시아의 푸틴 대통령은 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합니다. <br /> <br />중국과 최근 부쩍 밀접해진 폴란드,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은 파키스탄도 각각 대통령과 총리가 참석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밖에 중앙아시아 5개국 정상과 아르헨티나·에콰도르 대통령도 참석 명단에 포함됐지만, 곳곳에서 나오는 불참 촉구 목소리에 어수선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림픽 이후 미중 관계의 앞날에도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미국 상원에서 대중국견제법이 처리된 데 이어 하원에서도 관련 법안이 마련되는 등 바이든 정부는 중국에 대한 견제를 더욱 노골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 : 미중 간 치열한 경제적, 기술적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. 중국을 포함해 모두가 같은 규칙을 따를 것을 요구할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 세계무역기구가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한 미국의 조치에 맞서 중국이 "보복 관세를 물릴 수 있다"고 판단하면서 미중 무역 갈등도 다시 수면 위로 부상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가오펑 / 중국 상무부 대변인 : 세계무역기구(WT0)의 이번 판결은 미국이 오랫동안 WTO 규칙을 위반하고 무역구제 조치를 남용했음을 증명합니다.] <br /> <br />국제 규범 준수를 촉구하는 미국에 맞서 중국은 대중 무역구제 조사 과정에서 잘못한 행동을 바로잡을 것을 촉구하면서, 양측은 평행선 대립을 예고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수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수현 (sj10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020202180717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