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코로나가 대선의 주요 변수로 떠올랐습니다. <br> <br>오미크론 확산으로 대선 투표일인 3월 초 쯤에 확진자 10만 명 전망까지 나오고 있죠. <br> <br>투표소에 갈 수 없는 확진자들은 우편투표를 하게 되는데, 여야의 입장이 조금 다릅니다. <br> <br>정하니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방역당국은 현재의 오미크론 유행 추세가 계속될 경우 다음달 대선까지 확진자가 10만 명까지도 늘어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 경우 자가격리자는 280만 명으로 늘어날 수 있는데요. <br> <br>박빙의 승부에서 이들의 표심이 주요 변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<br><br>직선제 이후 역대 대선에서 적게는 39만 표, 많게는 557만 표 차이로 승부가 갈렸기 때문입니다.<br><br>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지난해 보궐선거 때처럼 확진자는 우편 투표를 하고, 확진자가 아닌 자가격리자는 일반 선거인 투표가 모두 끝난 오후 6시 이후 투표하는 방침을 세웠습니다.<br> <br>투표를 하려면 투표 마감 시간인 오후 6시 전에 투표소에 도착해 있어야 합니다. <br> <br>여야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 <br> <br>국민의힘은 우편투표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등 무효표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차승훈 / 국민의힘 선대본부 부대변인] <br>"'자가격리자 투표'가 무효표 논란으로 이어지게 되면 대통령선거의 당락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, '재검표 신청'과 '무효표 소송' 등의 대혼란이 이어질 것이 명확하기 때문입니다." <br> <br>선관위가 자체적으로 투표 방식을 정할 게 아니라 법률적 근거를 마련해 논란을 아예 없애야 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반면 민주당은 "부정선거에 대한 우려는 기우에 불과하다"면서도 표심의 향방을 예의주시 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선관위는 설 연휴가 지난 후 추가 검토를 통해 세부적인 계획을 발표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정하니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락균 <br>영상편집 : 김민정